본문 바로가기

노승수의 강해설교/마태복음강해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世系)라 (마 1:1-17)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世系)라 (마 1:1-17) 

노승수 목사

[1]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세계라 [2] 아브라함이 이삭을 낳고 이삭은 야곱을 낳고 야곱은 유다와 그의 형제를 낳고 [3] 유다는 다말에게서 베레스와 세라를 낳고 베레스는 헤스론을 낳고 헤스론은 람을 낳고 [4] 람은 아미나답을 낳고 아미나답은 나손을 낳고 나손은 살몬을 낳고 [5] 살몬은 라합에게서 보아스를 낳고 보아스는 룻에게서 오벳을 낳고 오벳은 이새를 낳고 [6] 이새는 다윗 왕을 낳으니라 다윗은 우리야의 아내에게서 솔로몬을 낳고 [7] 솔로몬은 르호보암을 낳고 르호보암은 아비야를 낳고 아비야는 아사를 낳고 [8] 아사는 여호사밧을 낳고 여호사밧은 요람을 낳고 요람은 웃시야를 낳고 [9] 웃시야는 요담을 낳고 요담은 아하스를 낳고 아하스는 히스기야를 낳고 [10] 히스기야는 므낫세를 낳고 므낫세는 아몬을 낳고 아몬은 요시야를 낳고 [11] 바벨론으로 이거할 때에 요시야는 여고냐와 그의 형제를 낳으니라 [12] 바벨론으로 이거한 후에 여고냐는 스알디엘을 낳고 스알디엘은 스룹바벨을 낳고 [13] 스룹바벨은 아비훗을 낳고 아비훗은 엘리아김을 낳고 엘리아김은 아소르를 낳고 [14] 아소르는 사독을 낳고 사독은 아킴를 낳고 아킴은 엘리웃을 낳고 [15] 엘리웃은 엘르아살을 낳고 엘르아살은 맛단을 낳고 맛단은 야곱을 낳고 [16] 야곱은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으니 마리아에게서 그리스도라 칭하는 예수가 나시니라 [17] 그런즉 모든 대수가 아브라함부터 다윗까지 열네 대요 다윗부터 바벨론으로 이거할 때까지 열네 대요 바벨론으로 이거한 후부터 그리스도까지 열네 대러라

전체적으로 : 

마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 이야기로부터 시작합니다. 족보를 소개함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의미는 구속사적 의미일 것입니다. 하나님은 창세전부터 우리를 향한 구속의 계획을 가지셨고 그것을 역사 속에서 이루어 오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것을 당신의 언약 백성에게 계시하여 주심으로 이 일을 속히 이루실 것에 대한 확신을 당신의 종들에게 허락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이 족보는 단순히 예수님이 이렇게 태어났다 정도를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성부께서 그리스도를 보내시기까지의 구약계시 전체를 요약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족보인 관계로 그 중에서 특징할 만한 것들을 중심으로 본문을 해설하고자 합니다. 
먼저 1절인데요.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이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그러나 원문을 보시면 '다윗과 아브라함의 자손'이라고 해서 다윗을 먼저 두었습니다. 여기에는 의도가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한글번역은 이 의도를 상당부분 훼손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잘 아시는 대로 마태복음은 흔히 '왕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그리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왕인 다윗을 부각하고자 하는 것이었습니다. 동시에 오늘 본문이 예수 그리스도가 오시기까지 역사를 아브라함으로부터 14대씩 잘라서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히브리 알파벳은 '알렙' '벳' '김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의 블로그의 '히브리어 알파벳'을 보시길 바랍니다. 영어로 치면 a,b,c, 정도가 되는 것이지요. 그런데 히브리인들은 이 히브리어 알파벳을 가지고 문자만 구성한 것이 아니라 숫자도 표현했습니다. '알렙'은 1, '벳'은 2, '김멜'은 3 등으로 말입니다. 왜 하필이면 14대냐면 '다비드' 즉 다윗의 이름을 숫자로 읽게 되면 14가 됩니다. 즉, 지금 이 마태복음의 저자는 구약의 구속의 역사 전체를 다윗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태가 이런 사실을 의도하였다면 적어도 이 공동체는 히브리어에 익숙한 유대인 공동체였을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이제 차차 살피겠지만 마태복음을 수신한 공동체는 유대인이면서 회심하여 예수께로 돌아온 공동체였습니다. 복음의 경륜 상 먼저 유대인에게 전해지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제가 다른 마태복음 본문에서 더 자세히 따로 살피겠습니다. 근데 이들은 곧 그리스도가 재림할 것이라는 이런 생각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주님의 재림이 생각보다 늦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신앙적 갈등으로 인해서 마태가 이 공동체에게 이런 복음서를 기록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여러분 제가 방금 설명 드린 이 설명은 꼭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계속해서 나오게 됩니다. 아무튼 이 수신 공동체가 적어도 유대인 공동체였다는 사실을 본문을 통해서 유추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 14대를 맞추는 과정에서 8절을 보시면 요람 다음이 웃시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열왕기를 보면, 이 두 임금 사이에 아하시야, 아달랴, 요아스, 아마샤라는 4명의 임금을 생략 하고 있습니다. 이것에 관련한 도표는 블로그에 분열왕국 연대표를 참조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성경 통독으로 유명한 어느 목사님은 이걸 두고 성경의 오류라고 지적을 하신 것을 제가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마태의 의도와 성경 전체의 구속사적 흐름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설명입니다. 뿐만 아니라 '성경의 무오성'이라는 복음주의 진영의 가장 중요한 신앙고백을 훼손하는 경솔한 발언입니다. 성경이 우리가 다 이해할 수 없을지언정 살아계신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이요 우리 영혼을 위한 생명의 양식임을 믿으셔야 합니다. 그럼 왜 도대체 이 4명의 왕은 빠지게 되었을까요? 악한 왕이기 때문일까요? 요아스나 아마사는 선한 임금이었습니다. 만약 악한 것으로 족보에서 누락이 된다면, 1순위는 남왕국의 바벨론 포로를 결정지었던 므낫세가 빠져야 할 텐데 이는 족보에 들어 있습니다. 그럼 도대체 어떤 이유 때문일까요? 여러분이 잘 아시는 대로 솔로몬의 아들 르호보암 시대에 나라가 북왕국 이스라엘과 남왕국 유다로 갈라집니다. 열왕기를 보면 이 기록이 상세히 나와 있는데, 북왕국과 남왕국이 왕의 계보를 설명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북왕국의 경우, 왕의 이름만 쭉 이어지는데 반면, 남왕국의 경우, 왕의 어머니 즉, 모후가 꼭 계보에 같이 등장한다는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한 절만 인용해 보겠습니다. "이스라엘 왕 엘라의 아들 호세아 삼년에 유다 왕 아하스의 아들 히스기야가 왕이 되니 위에 나아갈 때에 나이 이십 오세라 예루살렘에서 이십 구년을 치리하니라 그 모친의 이름은 아비라 스가리야의 딸이더라" 보셨습니까? 이것은 거의 관용적인 구문입니다. '~아들 ~가 왕이 되니 위에 나갈 때 ~세라 ~년을 치리하고 그 모친은 ~더라'라는 구문입니다. 북왕국과 달리 남왕국 모든 임금은 이와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제가 이미 몇 차례 설명 드린 대로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성경 계시의 중요성 때문입니다(창 3:15). 그리고 이 기록이 오늘 본문에서 4명의 임금이 생략되는 결정적인 이유가 됩니다.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여러분이 잘 아시는 성경의 내용으로부터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엘리야가 사역하던 시대는 북왕국 이스라엘의 아합왕 때입니다. 어지간히 교회를 다니신 분들은 한 번 이상 이 본문에 대한 설교를 들으셨을 것입니다. 아합은 두로의 페니키아와 왕과 정략적 혼인관계를 맺게 되는데, 부인으로 맞은 이가 여러분은 잘 아시는 '이세벨'입니다. 이 이세벨은 바알과 아스다롯을 섬기는 신전의 여사제였습니다. 그런데 이 아합과 이세벨 사이에 딸이 하나 태어납니다. 그 이름은 '아달랴'입니다. 아합은 정치적 안정을 꽤하기 위해서 당시 남왕국 유다의 왕이었던 여호사밧과 사돈 관계를 맺습니다. 이 아달랴를 여호사밧의 아들 여호람과 결혼을 시킵니다. 즉 바알 선지의 여사제의 딸이 다윗 계보에 어머니로 들어오게 된 것이지요. 이 일로 인해 유다와 이스라엘 전역에 바알신앙이 퍼지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여호사밧은 선한 왕이었지만 그 죄가 크다 하겠습니다. 동시에 여호람은 이 아달랴의 영향을 받아 바알숭배를 온 땅에 가득하게 합니다. 그러다가 '하사엘의 칼을 피하는 자는 예후가 죽이고 예후의 칼을 피하는 자는 엘리사가 죽이 것'(왕상 19:16)이라는 엘리야에게 하셨던 예언대로 아합의 오므리 왕가는 예후에 의해서 다 죽임을 당합니다. 이 때 아달랴와 여호람의 아들이었던 아하시야도 죽임을 당합니다. 이에 격분한 아달랴가 다윗 왕가의 씨를 진멸하려 하고 자신이 여왕으로 오릅니다. 이는 '다윗의 씨'와 '아브라함의 씨'를 통해서 오는 여자의 후손에 대한 사단의 세력에 대한 대 반격입니다. 그래서 이 엘리야 사건이 성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가 열왕기 본문을 해설할 기회가 있을 때 다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이 뒤의 두 임금, 요아스와 아마샤는 아달랴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그럼 왜 관련 없는 2대를 포함해서 4대가 이 다윗의 혈통에서 누락이 되었을까요? 이것은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 때문에 그렇습니다. '인자를 천대까지 베풀며 악과 과실과 죄를 용서하나 형벌 받을 자는 결단코 면죄하지 않고 아비의 악을 자녀손 삼사 대까지 보응하리라'(출 34:7).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시내산에서 언약을 맺고 난 후에 이스라엘이 모세가 시내산에 있는 40일을 견디지 못하고 금송아지로 범죄합니다. 이 때 하나님의 노를 격발하셔서 이를 다 진멸하고자 하셨으나 모세의 중보로 이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가 쉬게 됩니다. 모세가 깨뜨린 돌판은 언약이 깨어졌음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다시 시내산에 올라 다시 돌판을 깎아 언약을 갱신하실 때 바로 이 말씀을 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언약의 말씀대로 여호와 신앙을 저버리고 바알 신앙에 물든 다윗 혈통에 3,4대에 보응하신 결과입니다. 그래서 바로 이 4명의 임금이 그리스도의 계보에서 누락이 된 것입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 드린 대로 이 마태복음의 계보는 바로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그리스도와 관련이 있는 것이 틀림이 없습니다. 이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그리스도의 약속을 사단이 훼방한 사건이 바로 이세벨과 아달랴의 사건입니다. 이 사건의 구속사적 중요성은 굉장합니다. 앞서 모세가 율법의 수여자로서 이스라엘을 고소하고 엘리야 역시 율법으로 돌아오길 촉구하는 선지자로서 이스라엘을 고소합니다(요 5:45, 롬 11:2) 그래서 변화산에서 엘리야와 모세가 나타나고 종말에 그리스도의 재림에서도 모세와 엘리야가 율법을 따라 고소하는 것을 계시록에 그려집니다.(계 11:6) 그래서 마태는 다윗의 이름을 따라 14대를 3번으로 의도적으로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오류가 아니라 마태의 구속 역사에 대한 '역사 이해'라고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이해할 수밖에 없는 증거가 본문 속에 또 있습니다. 4-6절에 이 족보는 계속해서 남성으로만 이어지다가 '여자의 후손'에 대한 언급이 연이어 등장합니다. 여리고 점령 당시 정탐꾼을 숨겨주었던 믿음의 이방 여인 '라합', 나오미를 따라 가난 땅으로 와서 보아스와 결혼을 하였던 '룻', 다윗이 부정하게 취하였던 헷 사람 우리야의 아내 '밧세바' 까지 3명의 여인이 언급이 됩니다. 이것은 마태가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그리스도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이 계시의 최종적 성취가 바로 동정녀 마리아의 몸에서 나시는 그리스도입니다. 동시에 이방여인들로 이 복음이 단순히 유대인만을 위한 복음이 아니라 이방인들을 위한 복음임을 보여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구속의 경륜은 인간의 범죄에도 불구하고 지속됩니다. 다윗의 범죄에도 불구하고 우리야의 아내를 통하여 하나님의 구속 경륜을 이어가심에 한 치의 틀림이 없습니다. 나오미와 그의 남편과 아이들도 기근이라는 하나님의 시련을 피하여 모압으로 도피하는 범죄에도 불구하고 신실한 여인 룻을 만나게 하시면 하나님의 구속하심을 이루어가시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다함이 없다는 묵상이어야지 우리가 범죄하는 사실을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말씀을 묵상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나는 어떤 태도로 말씀을 대하고 있습니까? 나는 혹시 하나님의 은혜를 나의 죄를 즐기는 것의 빙거로 삼고 있지는 않습니까? 그런 부분이 있다면 속히 회개하고 돌이킵시다. 

앞서 설명 드린 것은 '여자의 후손' 곧 여자의 씨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그에 비해서 족보의 시작이 '다윗'에 대한 강조점을 가지고 있지만 분명 아브라함부터입니다. 잘 아시는 대로 '아브라함'은 '믿음의 조상'입니다. '너로 열방이 복을 얻게 될 것이라'는 약속의 성취가 바로 그리스도이고 이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셨던 '씨'가 바로 그리스도임을 입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 아브라함에게 '이삭'이라는 약속의 씨를 주시는 사건에도 여자의 후손으로 오실 것에 대한 계시가 분명히 담겨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이삭을 주실 때를 생각해보십시오. 아브라함은 늙고 사라는 경수가 끊어져 생산 능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이삭을 주셨습니다. 이 이삭은 그러므로 아브라함과 사라의 생물학적 자손이지만 생물학적 자손이 아니라 하나님의 권능에 의한 잉태임을 계시로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을 흔히 '불임 Motif'라고 합니다. 동정녀를 통해서 오실 것에 대한 일종의 '암시적 계시'인 셈입니다. 즉, 아브라함에게 주신 이 '씨'의 약속은 생물학적 후손에 대한 약속이 아니라 '믿음의 후손'에 대한 약속이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신약 전체가 증거하는 바입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 한 가지 더 주목할 만한 부분은 16절입니다. 여태껏 다 '낳고' 또 '낳고'로 이어오다가 예수님에 와서는 '나시니라'로 표현했습니다. 여기에 나오는 두 단어 '낳고'와 '나시니라'는 같은 단어입니다. 우리말로 번역은 그저 높임말 정도의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언어적 감수성을 조금 발휘하시면 이것은 수동태의 번역이라고 해둔 것입니다. 수동태를 더 살리려면 '낳아졌다'라고 번역을 하는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겐나오'라는 '낳다' '~의 아버지가 되다'는 뜻의 단어인데 예수님에게서만 수동태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2-16절까지 이 '겐나오'라는 동사는 40회나 출현하지만 모두 능동이고 예수님께만 수동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수동태의 주어는 마리아이고 마리아는 이 낳아지심이라는 행위를 수납하는 자로 그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 아이를 낳는 것이 마리아의 유일한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의 행위임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는 아브라함이 사라에게서 이삭을 낳는 과정과도 같은 것입니다. 이것은 신약성경에 흔히 관용적으로 나타나는 형태로 '신적 수동태'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윗이 더 강조되는 것은 앞서 설명 드린 대로 '왕으로 오시는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함입니다. 앞으로 본문을 통해서 이것은 더 선명히 보시게 될 것입니다. 다른 한 가지 본문을 앞으로 묵상하면서 주의하셔야 할 부분이 있는데요. 그것은 이 마태복음을 수신하는 공동체가 어떤 공동체였고, 저자 마태는 이들의 어떤 문제 때문에 이 복음서를 기록하고자 했는가? 하는 저작 동기에 관련한 문제입니다. 이는 본문을 살피면서 여러분에게 그 문제가 나오는 경우마다 자세하게 풀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마태복음이 가지는 전체적 구조에 대해서 말씀을 드려야 하는데 그 부분은 본문의 중요 구분점들이 나올 때 마다 곁들여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정리를 하자면 이 족보에서 주의해야 할 만한 본문은 1절의 '다윗과 아브라함의 자손'이라는 표현과 4-6절에 '여자의 후손' 그것도 이방 여인들에 대한 것과 8절에 생략되어 있는 4명의 임금과 그 생략의 배경이 된 이세벨의 딸, 아달랴 사건의 의미 그리고 마지막 16절의 '신적 수동태' 정도를 이해하면 족보와 성경 전체의 구속사적 메시지를 그래서 수준 있고 심도 있게 이해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본문을 대할 때, 어려운 점은 적용이지요. 사실 이 부분은 저에게도 매우 어려운 부분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고자 하시는 경륜이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이렇게 오래토록 준비되고 계획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그 계획이 변함없이 역사의 발전 속에서 실현되었다는 사실에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우리를 향한 사랑과 열정이 다함이 없으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됩니다. 이것을 깊이 묵상하셔서 삶 가운데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각자의 몫이겠지요. 2010년 경인년 한해도 이런 하나님의 깊고도 넓은 계획과 사랑을 우리 삶에서 확인하며 하나님이 이루실 하나님의 역사에 수납되어 쓰인바 된 마리아처럼 우리 삶이 이렇게 주님께 쓰여지는 한 해가 되게 해달라고 다함께 기도하는 한 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