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목회강단

창세기 24장 강해, 이삭의 아내 리브가_노승수 목사

https://youtu.be/ZwHNyDP-bCM


위 링크의 설교는 그랜드래피즈의 칼빈대의 은퇴 교수이신 리처드 멀러의 칼뱅의 성경해석에 대한 역사신학적인 연구에 근거한 것입니다. 동시에 어거스틴의 확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거스틴의 신앙편람의 구조(믿음, 소망, 사랑)를 따라 루터의 소요리문답이 작성되었고 이 구조를 따라 대부분의 개혁파 신앙고백들이 작성되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사도신경(믿음) 십계명(사랑) 주기도(소망, 은혜의 방편들) 구조가 이런 면의 반영입니다. 이 주장의 근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중세적 해석과 관련한 칼뱅의 성경 해석에 대한 두 가지 견해

1. 한스 요아킴 크라우스(Hans Joachim Kraus)로 대표되는 “단절설”

2. 앙리 스트롤(Henri Strohl)로 대표되는 “연속설”


크라우스에 의하면, 칼뱅의 해석은 

현대 성경 해석의 윤곽을 미리 보여주며 

중세적 잔재를 지웠다고 보았다. 

그 근거로 칼뱅의 『로마서 주석』 서문,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단절설을 내놓았다. 


스트롤은 칼뱅의 해석은 

중세 해석과 본질에서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중세로의 복귀라 했다. 


이 중 단절설을 주장한 크라우스의 견해가 더 지배적이며, 학계에 일반적으로 통용된다. 


리처드 멀러는 두 견해를 모두 비판하고 

칼뱅의 주석들로부터 칼뱅이 사중해석을 가져오는 부분들을 찾아낸다. 

이런 점에서 크라우스의 견해는 옳지 않다.

칼뱅의 성경 해석에는 분명 중세와 연속적인 요소가 있다. 

특히 칼뱅은 중세의 사중해석이 지닌 종말론적 특성을 더 잘 발전시켰다.


사중해석은 문자적, 알레고리적, 도덕적, 종말론적 해석을 의미하는데,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역사적 문법적 해석: 

기록 당시의 의미를 중시하는 

역사적 문법적 해석

역사적 과거,

ex. 예루살렘=옛 이스라엘의 수도 예루살렘


2) 기독론을 기반한 모형론적 해석: 

기독론적 적용을 강조하는 알레고리적 해석

믿음어야 할 바_모형론적인 의미, 늘 그리스도와 관련해서만 적용된다. 

ex. 예루살렘=그리스도의 신부인 교회


3) 교회론에 기반한 모범적인 해석: 

현재적 실천을 강조하는 도덕적 해석

사랑해야 할 바_교회론적 맥락, 오늘날 신자의 윤리, 

ex. 예루살렘=오늘 우리가 다니는 교회와 그 삶


4) 종말론적인 해석: 

미래의 완성을 지향하는 종말론적 해석

소망해야 할 바_종말론적인 그리스도에 대한 대망, 

ex. 예루살렘=완성될 천국 즉, 새 하늘과 새 땅


을 말한다. 


따라서 대중적인 편견들과는 달리 

중세 사중해석은 어거스틴의 신앙편람의 믿음, 사랑, 소망의 구조의 확대며 이것이 얼마나 역사적이며 종말론적인지 알 수 있다.


알레고리적 해석을 사용한 것은 

비단 칼뱅뿐 아니라, 다른 종교개혁자들 

가령 루터와 외콜람파디우스와 멜랑히톤의 특징이기도 했으며 심지어 바울도 갈라디아서 4장에서 알레고리를 사용했다. 

이런 현상은 하나님의 말씀은 교회를 위한 말씀이어야 함을 강조했기 때문에 생긴 현상이다.


참고로, 교부들의 성경 해석에서 알레고리적 특징이 두드러진 곳은 

거의 대개가 기독론적 강조 때문이었다. 

즉 성경은 전체가 그리스도 중심적으로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무리하게 알레고리를 사용해서라도 그렇게 적용했다. 


그러나 이런 교부적이며 어거스틴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멀러는 스트롤의 해석한 칼뱅의 중세복귀설 역시 문제가 있다고 봤다. 


왜냐하면, 

칼뱅의 성경 해석은 문법적이고 역사적 성경 해석을 중세 성경 해석자들보다 훨씬 더 중요시했기 때문에 칼뱅의 해석은 중세와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다고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멀러는 칼뱅 성경 해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칼뱅이 동시대 다른 성경 해석자들과 비교해서 간단 명료성(brevitas et facilitas)을 지향한다. 

(2) 칼뱅은 사중해석을 적용하지만 약속-성취의 구도 속에서, 그리고 하나님 백성의 지속되는 역사 속에서만 적용한다.

(3) 칼뱅은 문법적이고 역사적인 성경 해석을 더 강조함으로써, 사중해석이 지닌 약점을 보완하고, 지나친 알레고리를 피했다. 


-참고문헌-

Richard A. Muller, “The Hermeneutics of Promise and Fulfillment in Calvin's Exegesis of the Old Testament Prophecies of the Kingdom,” in David Steinmetz, ed., The Bible in the Sixteenth Century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1990), 68-82. 참고.

어거스틴, 신앙편람 참고

하이델베르크요리문답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