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기타미분류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1863~1949)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1863~1949)
헐버트는 한국의 은인, 한국 사람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으로 칭송받는 인물입니다. 
1863년 1월 26일 미국 버몬트에서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헐버트는 1884년 다트마우스(Dartmouth) 대학을 졸업하고, 유니온 신학교 재학 중이던 23세 때 육영공원(育英公院) 영어교사로 1886년 7월 4일 내한하였습니다.
1886년 9월 23일 개원한 육영공원의 운영과 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규정으로 ‘育英公院 設學節目’을 제정한 헐버트는, 학생들이 세계 지리에 관심을 보이자 1889년에는<士民必知>를 한글판으로 발행했는데 이 책은 많은 학교에서 필수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5년 동안 교사 생활을 한 후 학교가 문을 닫자 귀국했던 헐버트는 1893년 9월 감리교 선교사로 다시 한국에 오게 됩니다. 
다시 방한한 그는 배재학당 안의 삼문출판사를 중심으로 주로 문서선교에 관여하며 다양한 주제로 한국에 관한 글들을 발표하는 한 편, 1903년에 창설된 한국 YMCA의 초대회장을 맡기도 하였습니다
일본이 을사늑약으로 한국의 외교권과 재정권을 강제로 빼앗기 바로 전, 고종은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외교적인 도움을 호소하기 위해서 헐버트를 밀사로 파견하였습니다. 이때 미국과 일본은 이른바<가츠라태프트밀약>을 맺고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이권 보장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야망을 서로 묵인한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모르고 있던 고종은 1882년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 제1조, 즉 쌍방 중 어느 한 나라가 제3국에 의해서 침략을 당할 경우 다른 한 나라는 이에 간섭해서 우호적으로 사태를 해결해 줘야 한다는 거중조정 내용을 문구 그대로 믿고 밀사를 파견했던 것입니다. 
결국 헐버트는 친일인사들로 구성된 미국 정부에 고종의 밀서를 접수시키지도 못하였고, 한국과의 신의를 저버린 자신의 조국을 원망하면서 돌아올 수 밖에 없었습니다.
헐버트는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린다는 사실을 한국정부에 알리고 그것을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는 외교적인 통로로 활용하기를 권고하였습니다. 이에 고종은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이준 등 세 사람의 밀사를 파견하였습니다. 
헐버트 자신도 헤이그로 가서 유럽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호소하였습니다. 하지만 일본의 압력으로 이 일도 결국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1909년 8월에 헐버트는 다시 한국으로 들어왔습니다. 강제로 퇴위된 고종으로부터 상하이 독일계 은행에 예치해 둔 25만 달러 상당의 비자금을 찾아 안전한 은행으로 옮겨 달라는 밀명을 받은 것입니다. 하지만 해외독립운동을 돕기 위해서 비밀리에 마련해 둔 이 자금도 일본 통감부의 간계로 결국 다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미국으로 돌아간 헐버트는 순회강연과 신문기고를 통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고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비판하며 한국을 잊지 않고 돕는 일을 했습니다.
광복 후 이승만 대통령의 초청으로 86세의 노구를 이끌고 내한하였지만 노쇠한 육신으로 오랜 여독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1949년 8월 5일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웨스터민스터 사원보다 한국에 묻히고 싶다."는 헐버트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해는 한 살 때 죽은 그의 아들이 묻혀있는 양화진에 안장되었습니다.
한국인 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미국인
“나는 영국의 웨스트민스터성당 보다도 한국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호머 헐버트 (1863-1949)
1) 헐버트를 만나다!
다른 나라와 그 국민들을 위해서 눈물을 흘려본 경험이 있는가? 필자는 눈물이 고갈된 사람은 아니지만 반백년을 살면서 그런 체험이 전혀 없다. 그런데 몇 해 전에 “미국인상기”라는 제목의 책자를 읽으면서 큰 충격을 받은 일이 있다. 대한민국의 초대 공보처장을 지낸 김동성이란 분이 1948년에 집필한 이 책은 미국인이 한국을 위해서 눈물을 흘렸다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담고 있다:
“만일 외국인으로서 한국에 대한 애국자가 있다면 호머 헐버트 박사보다 더 나은 이는 다시없다. 헐버트 박사는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된 후 한국에서 추방되었다. 미국으로 귀국한 그는 많은 기회를 만들어 한국을 선전하고 소개했다.
한 사람의 힘으로는 미약했지만 열과 성의를 다하여 청중을 감동시켰다. 강연 때 마다 그는 눈물을 흘리며 한국과 한국인의 억울함을 호소했다. 일생을 두고 그는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생활했던 분이다.”
과연 호머 헐버트란 인물은 누구인가? 왜 그는 자기의 조국이 아닌 필자의 조국인 한국을 위해서 눈물을 흘려야 했을까?
2) 헐버트의 가계 
호머 헐버트는 1863년 1월 26일 미국 버몬트 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친은 목사이자 미들버리(Middlebury) 대학 학장이었으며, 그의 모친도 미국의 명문 가문의 딸이었다. 그녀의 증조부는 다트머쓰(Dartmouth) 대학 창설자였으며, 그녀의 부친은 인도 선교사였다. 헐버트는 다트머쓰 대학을 거쳐 1884년 유니언(Union) 신학교에 입학하였다. 당시 한국에서는 육영공원이라는 국립학교의 설립을 계획하고, 교사를 파견해 줄 것을 미국 정부에 요청해 놓고 있었다. 미 국무부 교육국장 이튼(J. Eaton)은 다트머스 대학 동창인 헐버트의 부친에게 두 아들 중 한명을 한국에 보내는 것이 어떻겠냐고 문의했다. 헐버트는 유니언 신학교에 재학 중인 두 아들에게 의견을 물었고, 형보다 적극적으로 나선 동생 헐버트가 교사로 선발되었다. 
3) 헐버트와 한국의 첫 인연 
헐버트는 1886년 7월 4일 다른 초빙교사 벙커(D.A. Bunker), 길모어(G.W. Gilmore)와 함께 한국 땅을 밟는다. 1886년 9월 23일 육영공원이 설립된 후 그의 첫 사업은 육영공원 규정을 제정하는 일이었다. 그는 서구식 학제를 갖춘 학교 운영, 교육내용, 교육 방법에 관한 규정을 만들었다. 영어, 역사, 자연과학, 지리, 수학 등 근대적인 서양학문을 가르쳤던 이 학교의 학생들은 현직 관리와 재능 있는 선비들의 자제였다. 헐버트는 한국 학생들이 특히 세계 지리에 관심을 보이자 1891년 간이 천문 지리서의 성격을 갖춘 
《사민필지》(士民必知)를 순 한글판으로 냈다. 이것은 1892년 이후 기독교 계통 학교는 물론 일반 학교에서도 필수적인 교재로 사용하게 되었다. 
헐버트는 한국 정부가 재정 형편상 육영공원을 축소 운영하고, 교사들에 대한 급료를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자, 1891년 12월 일단 교사직을 사임하고 귀국하였다. 그러나 헐버트는 1893년 9월 목사 안수를 마치고 미 감리교회 선교사 자격으로 다시 내한했다. 헐버트는 이미 육영공원 교사 시절부터 성경과 종교서적 번역 사업에 참여한 바 있었다. 정식 선교사로 내한한 후 그는 미 감리교회에서 운영하는 출판사 운영의 책임을 지고 문서 선교 사업을 주관하였다. 그는 출판사에 부임한 지 9개월 만에 전도지와 종교서적 1백만여 면을 인쇄 배포하고, 경영을 자급자족할 수준에까지 끌어 올렸다. 
4) 헐버트의 한국연구 
헐버트의 뛰어난 업적은 무엇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한국학 연구라 할 수 있다. 그는 한국인들과 교류하면서 한국의 언어, 풍습, 문화, 학문에 대해 폭넓은 지식을 쌓았으며 탁월한 연구 성과를 남겼다. 그의 한국 연구는 서양인들에게 한국의 역사, 속, 언어 등을 소개하고, 이를 해 한국을 제대로 알게 하기 위함이었다. 1892년 1월부터 한국에서는 "The Korean Repository(한국보고)"란 월간 영문 학술 잡지가 발간되기 시작했다. 이 잡지의 편집자는 창간호의 첫 논문으로 헐버트의 "한글(The Korean Alphabet)"을 실었다. 마침 헐버트가 미국에서 체류하고 었으므로 잡지의 편집자는 그의 동의를 얻어 그의 글을 실었던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헐버트의 한국연구의 수준이 어떠했는지를 증명해주고 있다. 이후에도 헐버트의 논문들은 "한국보고"에 수시로 발표되었다. 헐버트는 1901년 1월 "한국평론(The Korea Review)”이란 잡지를 창간하여, 편집장으로 활동하면서 1906년 12월까지 수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헐버트의 한국학 연구는 두 종류의 책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 "한국의 역사(The History of Korea, 1905)"라는 두 권으로 구성된 저술과 방대한 한국학 자료를 담고 있는 "조선의 멸망(The Passing of Korea, 1906)"이란 책자가 그것이다. "한국의 역사"는 한국학에 관한 연구성과가 엄청나게 집적된 오늘의 관점에서 보면 미흡한 부분이 많지만 당시로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저술이었다. “조선의 멸망”은 헐버트가 20년간 한국에서 머물면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한 명저이다. 한국의 역사, 산업, 문화예술 및 19세기 및 20세기 초 한국의 정치와 사회를 이해하는데 있어 이 책자는 매우 귀중한 사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는 한국인을 합리적이면서도 신비적인 기질을 가진 민족이라고 평가했다. 비록 그가 당시 사회상과 연관시켜 일부 한국인들의 진실성과 정의감의 결핍, 공공의식 및 위생관념의 부족 등을 지적했지만, 그에게 비친 한국인은 참을성이 강하고 황소 같은 기질을 지닌 뛰어난 민족이었다. 헐버트의 국어와 한글 사랑은 남달랐다. “조선의 망”이란 책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한국어는 공공 연설의 매개물로는 영어보다 우수하다.(In this respect the Korean surpasses English as a medium of public speaking.)”, “세계 어느 문자보다도 간단하고 폭넓게 음운을 표기할 수 있는 한글을 중국인들이 채택해야한다고 나는 감히 주장해 왔다.(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present writer has urged that the Chinese people be invited to adopt the Korean alphabet, which is as simple in structure as any, and capable of the widest phonetic adaptation.)” 
5) 헐버트의 정치 참여 
헐버트는 일제의 침략으로 한국의 국운이 기울어 가고 있을때 정치 문제에도 적극 참여하게 된다. 1895년 일본인들이 한국의 황후를 시해하자 신변의 위험을 느끼고 있던 한국의 황제 고종은 외국 선교사들의 보호를 받으려 했다. 이때 헐버트는 존스(G.H. Jones), 게일(J.S. Gale), 언더우드(H.G. Underwood), 애비슨(O.R. Avison) 등 미국 선교사들과 교대로 고종을 호위했었다. 한국의 고종황제는 당시 한국에서 활동하던 외국인중 헐버트를 가장 신뢰하였고, 사랑했다. 헐버트가 누구보다 한국의 개화를 위해 헌신하고 있었고, 한국과 한국인을 사랑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한국의 정치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있던 헐버트는 상류층 청년 지사들을 교회로 인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유능한 청년들에게 근대적인 사회개혁의식을 고취시킬 다른 방법을 찾아낸다. 이것이 바로 YMCA(황성 기독교 청년회)이다. 헐버트는 한국YMCA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한국 청년들의 의식을 개조하고 이들을 미래의 지도자로 양성하려 했다. 헐버트는 YMCA운동을 사회운동의 성격을 띤 청년운동으로 발전시키려 했었다. 이러한 점에서 그는 또다른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와 달랐다. 언더우드는 YMCA 운동을 순수 신앙운동으로 전개하려고 했었다. 때문에 한국에서의 YMCA운동은 초창기에 혼돈이 빚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한국의 YMCA운동은 헐버트의 입장대로 방향을 잡게 되었다. 그는 창설의 주동적인 역할을 했으며, 1903년 한국 YMCA 초대 회장에 선출되었다. 
6) 한국정부의 밀사 헐버트 
1905년 가쓰라 태프트 밀약(1905. 7), 영일동맹(1905. 8), 포츠머드 조약 등으로 일본의 한국병합이 구체화되어 갔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도움으로 이러한 일본의 획책에서 벗어나고자 미국 정부에 밀사를 파송키로 했다. 한국 황제는 헐버트를 밀사로 임명했다. 헐버트는 1905년 10월 중순 비밀리에 미국 워싱턴으로 향했다. 그는 고종 황제의 친서를 휴대하고 있었다.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려고 하고 있는데 이는 무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니 미국이 도와줄 것을 요청하는 서한이었다. 
그러나 그가 워싱턴에 도착했을 때 일본의 강압으로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고, 한국은 일본에게 외교권을 박탈당했다. 미국은 가쓰라 태프트 밀약으로 일본의 한국 지배를 묵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루즈벨트 대통령을 만나려던 헐버트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워싱턴에서의 밀사활동에 실패한 헐버트는 1906년 6월 한국에 오게 되었으며, 고종 황제와 한국의 YMCA 회원들에게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소식을 전해 주었다. 1907년 3월 그는 고종 황제의 신임장을 가지고 헤이그로 향했다. 헐버트를 신뢰하던 한국의 고종황제는 그를 이준 등 세 명의 한국의 밀사보다 먼저 헤이그에 파견했다. 헐버트와 한국의 밀사들의 활약은 큰 성과 없이 끝났고, 이준 열사는 헤이그에서 목숨을 잃었다. 
7) 일제의 헐버트 추방 
어쨌든 이 같은 헐버트의 적극적인 정치참여 태도에 대하여 선교사들 간에 말이 많았다. 특히 일본인에게 헐버트는 눈에 가시 같은 존재였다. 1907년 5월 8일 헐버트는 본국의 소환형식으로 한국을 떠나야만 했다. 한국을 떠난 후 그는 제1차 세계대전까지 프랑스에서 YMCA운동을 전개하였고, 그 후 은퇴하여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 머무르면서 수시로 한국의 독립을 돕는 일에 참여하였다. 1919년 한국에서 식민통치에 반대하는 평화적인 대규모 독립운동이 일어나고 일제는 시위자들을 무차별 살상하고 고문하는 만행을 자행했다. 그는 미 의회에 출석하여 일제의 만행에 대해 증언하기도 하고, 미국 각지를 돌며 강연을 통해 한국과 한국인들의 억울한 사정을 대변해 주었다. 1925년 그는 “마법사 엄지(Omjee-The Wizard)"란 한국 동화집을 발간하여 미국의 어린이들에게 동방의 먼 나라 한국의 민속을 소개했다. 또한 이듬해인 1926년에는 ”안개속의얼굴(The Face in the Mist)"이라는 소설을 집필하였다. 미국의 소년, 젊은 해군 장교, 유머 넘치는 아일랜드 선원이 보물을 찾아 미지의 세계인 동양으로 모험한다는 줄거리이다. 이들의 종착지는 바로 한국의 제주도이며, 이곳에서 한글로 “목화(Mokwha)”라는 이름이 새겨진 목걸이를 발견한다. 
8) “나는 영국의 웨스트민스터성당 보다도 한국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 
한국은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되고, 1948년 8월15일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는 1949년 7월 29일 다시 한국 땅을 밟을 수 있었다. 당시 한국의 이승만 대통령이 헐버트의 독립에 대한 은혜에 보답하고자 그를 초청했던 것이다. 그러나 86세의 노인이 된 헐버트는 42년 동안 타의에 의해 밟아보지 못하던 한국 땅을 다시 밟은 지 일주일 만인 8월 5일 서울 위생병원에서 별세했다. 대한민국은 그의 죽음을 국장에 버금가는 사회장으로 애도 했다. 
"나는 영국의 웨스트민스터 성당보다도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하노라(I would rather be 
buried in Korea than in Westminster Abbey)". 이는 한국의 수도 서울 외국인 묘지 헐버트 무덤의 묘비에 새겨진 글이다. 이는 1949년 헐버트가 미국을 떠나면서 미국의 통신사 기자에게 말이다. 또한 이는 42년간 한국과 떨어져 있으면서 그가 친구들에게 입버릇처럼 던진 말이기도하다. 한국과 한국인들은 헐버트, 그리고 그의 조국 미국을 영원히 기억하고 있다! 
헐버트의 저술 “조선의 멸망(1906년)”의 일부를 발췌하여 싣는다. 관심 있는 독자들은 원본을 꼭 한번 읽어보기를 진심으로 권한다. 요즘 어설픈 지식으로 포장되어 나오는 한국에 수많은 저술들과 틀림없이 다르다는 점을 느끼게 될 것이다. 필자는 미국의 그 많은 한국 전문가들에게 묻고 싶다. “그대들은 헐버트를 아는가?”

'교회사 > 기타미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의 전통들  (0) 2018.04.05
요세푸스 고대사 전쟁사  (0) 2018.02.10
신학의 역사(History of Theology)  (0) 2018.02.07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0) 201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