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신앙고백서

Definition of Chalcedon

기원후 451년에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에 대한 교회의 신앙고백이 나타난다. 우리가 흔히 그리스도 예수는 참 하나님이시요 참 사람입니다.라고 고백하는 신앙고백은 이 칼케돈에서 확정된 신앙고백 곧 칼케돈 신조의 결과물이다. 
 
 
Definition of Chalcedon(라틴전문)
 
Sequentes igitur sanctos patres
, unum eundemque confiteri Filium et Dominum nostrum Jesum Christum consonanter omnes decemus, eundem perfectum in deitate et eundem perfectum in humanitate; Deum verum et hominem verum eundem ex anima rationali et corpore; consubstantialem Patri secundum deitatem, consubstantialem nobis eundem secundum humanitatem;
'per omnia nobis similem, absque peccato': ante secula quidem de Patre genitum secundum deitatem; in novissimis autem diebus eundem propter nos et propter nostram salutem ex Maria virgine, Dei genitrice secundum humanitatem; unum eundemque Christum, Filium, Dominum, unigenitum, in duabus naturis inconfuse, immutabiliter, indivise, inseperabiliter agnoscendum
: nusquam sublata differentia naturarum propter unitionem, magisque salva proprietate utriusque naturae, et in unam personam atque sunstantiam concurrente: non in duas personas partitum aut divisum, sed unum eundemque Filium et unigenitum, Deum verbum, Dominum Jesum Christum; sicut ante prophetae de eo et ipse nos Jesus Christus erudivit et patrum nobis symbolum tradidit.
 
칼케돈 신조(한글 번역 전문)
거룩한 교부를 따라,
우리는 일치하여 모든 사람이 하나의 동일한 아들이며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고백하도록 가르친다. 그는 신성과 인성이 완전하여 참 신이며, 이성적 영혼과 육체를 가진 참 인간이다. 신성으로는 성부와 본질이 동일하고, 인성으로는 우리와 본질이 동일하다
: '모든 면에서 우리와 같으시되, 죄는 없으시다'. 신성으로는 창세 전에 성부로부터 출생하였고, 인성으로는 이 마지막 때에 우리와 우리 구원을 위하여 신의 수태자인 동정녀 마리아에게 태어나셨다. 우리는 또한 하나의 동일한 그리스도, 성자, 주님, 독생자의 양성이 혼합(confusion), 변질(change), 구분(division), 분리(seperation)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 양성의 구별이 연합으로 제거되지 않고, 각 성의 속성들이 한 인격과 한 실재 안에서 보존되고 협력한다. 두 인격으로 분리되거나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동일한 성자, 독생자, 참 신, 주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일찌기 선지자들이 이와 같이 증거하였으며,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친히 우리에게 그렇게 가르쳤고, 우리에게 전수된 교부들의 신앙고백도 그러하다.
 
해설 : 
1. 인성을 취하셨다 함은 단순히 인간의 육체를 취한 것 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리스도께는 인간의 영혼과 육체가 공히 참된 인간으로 존재한다. 칼케돈이 고백하는 것처럼 전통적으로 교회는 인간의 영혼에 대해 고백할 때, 이성적이며, 의지적이라고 고백해왔다. 이것은 인간의 영혼의 특성만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영의 특성이며, 따라서 참된 영적 존재이신 하나님의 속성을 말할 때도 지성과 의지를 말하게 된다. 그래서 그리스도께는 참 하나님으로써 신적 지성과 의지가 계시고, 동시에 참 인간으로써 인적 지성과 의지가 계신다. 예컨대, 피곤하며 배 고물을 베고 주무심은 인적 의지를 바다를 고요케하고 잠잠케 함은 신적의지를 보여준다. 모든 것을 아신다는 점에서 신적 지성을 동시에 종말의 때에 대해서 모른다고 하실 때는 인적지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참 사람이 되셨다는 말은 영혼과 육체를 참으로 취하셨다는 의미이다. 동방교부들의  "취하여지지 않은 것은 구원 받을 수 없다." 표현처럼 그리스도는 참 인간이 되시기 위해 몸과 영혼을 마리아로부터 취하셨다. 이것이 교회의 참 신앙 고백이다. 그래서 사도신경에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셨다고 고백하는 것이다. 
 
2. 두번째 중요한 개념은 인격개념이다. 위격이란 말과 인격이란 말은 같은 단어의 다른 번역이다. 신적 존재에 대해서 인간과 같은 말로 번역할 수 없기에 위격이라고 번역한 것이다. 영어에선 소문자 대문자의 차이만이 존재한다. 인격은 존재의 본성의 필수적 개념이 아니다. 신학 안에서 인격은 흔히 "이성적 주체" 혹은 "존재에 대한 자의식" 개념으로 이해된다. 이성적 기능은 영의 본성에 속한 것이다. 영의 두가지 기능 곧 지성과 의지를 책임있게 운영하는 주체를 인격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성적 주체라고 함은 "행동에 대한 책임적 주체(a responsible subject)"를 의미한다. 
 
3. 혼합과 변질은 초대교회 이단인 유티케스의 대한 반대의 답변이다. 유티케스에 의하면, 성자의 제 2 위격 안에서 두가지 품성 곧 신성과 인성이 연합되어서 제 3의 인류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그 다음에 나오는 두 가지 곧 구분과 분리는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반론이다.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은 흔히 '경교'라는 이름으로 당나라는 물론 신라에 까지 전해졌다. 현대에 들어서 네스토리우스에 대한 평가는 새롭게 조명되는 편이지만, 여전히 교회의 그리스도에 대한 보편적 신앙고백은 한 인격에 두 가지의 품성을 말한다. 그런데 네스토리우스는 예수님에게 사람으로서의 인격과 신으로서의 인격(위격) 같이 있어서 양성이 분리되고 구분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씨릴과의 논쟁에서 마리아가 하나님의 어머니인지, 그리스도의 어머니인지로 논쟁이 불붙었고, 그결과 나온 신앙고백이 칼케돈 신조인 셈이다. 
 

4. 신조 첫 머리에 거룩한 교부를 따라, 라는 고백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니케아 콘스탄티노플에서 확인되었듯이 교회의 4가지 표지, 하나이며, 거룩하며, 보편적이며, 사도적 교회에 대한 확인이다. 칼케돈 역시 이 사도적 전승에 기초해 서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