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파의_이중_칭의_용법은_죄사함과_의의_전가가_동시적이며_이는_그리스도와의_연합의_결과로_주어진_이중_은혜다.
칼뱅의 구원론에서 중심적인 자리는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 cum Christo)"이며, 그 결과로써 주어진 "이중 은혜"에 속하여 있으며, 이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룬 것은 1559년에 출간된 최종판 기독교 강요 3권이다(Herman J. Selderhuis, 김귀탁 역, [칼빈 핸드북] (서울: 부흥과 개혁사, 2013), 569.).
우리는 그리스도와 함께함으로 인해 이중적인 은혜(duplicem gratiam)를 받는다(Inst. 3. 1. 1.). 칭의는 죄사함과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가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으로 이해해야 하며 이 둘을 포함한다(Inst. 3. 11. 2).
'블로그 > 목회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병호 교수의 기독교의 진리 (0) | 2019.03.17 |
---|---|
율법의 용도에 대한 루터와 칼빈의 견해 (0) | 2019.03.17 |
비극과 전적 타락 (0) | 2019.03.17 |
범책과 벌책에 관해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서 (0) | 2019.03.17 |
WCF의 모세언약의 위치와 그리스도의 능동적 순종 (0) | 2019.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