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종교개혁사

페트루스 발데즈(Petrus Valdes)

페트루스 발데즈(Petrus Valdes)
페트루스 발데즈(Petrus Valdes 혹은 Petrus Waldes)는 발두스(Waldus)나 발데시우스(Valdesius), 발두스 (Valdus), 피터 왈도(Peter Waldo), 삐에르 발데(Pierre Waldes)라고도 부른다.
페트루스 발데즈(†1218)는 리용(Lyon)의 상인이었고, 후에 발도파(Waldenser)라고 부리운 신앙공동체의 평 신도 설교자였다. 발도파는 중세기의 이단, 혹은 이교도로 여겨졌으며, 종교재판을 통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살아남은 신앙공동체이다. 그의 이름 페트루스(Petrus)는 당시의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짐작컨대 그의 추종자들로부터 후에 덧붙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1. 리용에서의 행적(Leben und Wirken in Lyon)
발데즈는 리용의 부유한 중산층으로서 성경연구에 몰두했다. 그리고 1170년대 초에 안세의 슈테판(Stephan von Anse)에게 라티어성경번역과 불가타(칠십인역)를 지방 불어인 옥치타니아어(okzitanisch)와 프랑크프 로방스식 방언으로 번역하도록 부탁했다. 그로써 성경은 그 지역의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쉬운 책이 되었다. 이 번역된 사본들은 더이상 남아있지 않다.
1176/77년 즈음 이 곳에 기근이 몰아닥치자, 발데즈는 그의 지금까지의 신앙생활의 방식을 바꾸게 되는 회 심을 경험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 결과의 원인들은 여러 문헌들에서 드러난다.
라온의 무명작가에 의하면, 에데싸의 알렉시우스(Alexius von Edessa)의 전설을 내용으로 하는 어떤 무명의 음유시인의 노래로부터 발데즈는 어떤 깊은 감동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다. 그 후 발데즈는 자신의 재산을 대 부분 아내에게 상속하였고, Fontévrault의 수도원에 딸들을 위탁했다.
파사우어의 무명작가의 기록에 의하면, 예전부터 가깝게 지내던 중산층 지인의 갑작스런 죽음에 충격을 받고 난 후, 곧바로 큰 금액의 돈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신약성경의 본문을 번역하여 가난한 이들에게 복 음을 가르쳤다고 한다.
기근때문에 발데즈는 리용지역에서 공개적으로 가난한 자들을 돌보았고, 수개월동안 성경을 강론했다. 이것 을 통해 그는 그의 자발적인 가난을 통한 경건생활을 따르려는 수많은 추종자들을 얻었다.
사도와 같은 가난한 삶 가운데에서 설교되어지는 수년간 점점 더 많은 남자들과 여자들이 함께 했으며, 구걸 하며 지내던 발데즈와 추종자들때문에 리용 주변의 교구지역들을 통해 이후 발도파(불:Vaudois)들은 "리용의 빈민"(Arme von Lyon)이라고 불렸다.
2. 교회와의 마찰
발데즈와 그의 추종자들에게는 주님께서 사도들에게 요구하신 막16:15의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 게 복음을 전파하라"는 말씀에 원칙적으로 모든 그리스도인이 자발적인 명령으로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 했다. 바로 이 부분이 당시 카톨릭교회와 마찰을 일으켜 발도파들을 종교재판으로 박해하게 만든 근본원인이 었다. 왜냐하면, 카톨릭교회는 주님의 마16:18절 말씀"너는 베드로라 내가 이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리라"을 자신들에게만 독자적으로(!!!) 위임하신 것으로 이해했다. 그렇기 때문에 설교권 역시 교회의 입장에서 (카톨 릭)성직자에게만 허락된 독자적인 것으로 보았다. 평신도 설교권의 자유는 교회의 가르침의 원칙에 대한 의문 에서 시작되었다.
발데즈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1179년 교황 알렉산더3세에 의해 로마에서 열린 제3차 라테란공의회에서 교 황의 공적 설교권의 이행과 커다란 마찰을 일으켰다. 영국 사절단의 대표 Walter Map(†1208/1210)의 주재 로 열린 공의회의 분과에서 두 명의 "리용의 빈민"들의 대표는 카톨릭 대표들에 의해 큰 조롱거리가 되었다. 라온 출신의 무명작가(Anonymus von Laon)에 의하면, 이 유치한 짓꺼리(혹은 유치한 작자들)에도 불구하고 교황은 발데즈를 용인해 주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게 자신이 원한대로, 단순히 지역관할 주교에게 허락만 받 으면 설교할 수 있도록 원칙적인 제한만 두는 설교권을 허락해 주었다.
1180년 발데즈는 리용에서 카타르파를 단죄하기 위해 열린 종교회의를 통해 교황의 사절인 시토교단 (Zisterziens)의 알바노(Albano) 추기경, 앙리 드 마시(Henri de Marcy)에게 "ego Valdesius"(1368년 문헌 에 처음으로 발데즈의 이름 Petrus가 등장)과 함께 "리용의 빈민"들의 고행을 정통신앙으로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와 더불어 그는 당시 카톨릭교회에 대하여 설교를 상대화 하였다.
동시에 발도파를 남부프랑스의 카톨릭교회를 위한 운동이며, 이단적 신앙운동인 카타르파와 분명히 차별화 된 선을 긋기 위한 신앙규례를 만들었다.
얼마후 발데즈와 그의 추종자들은 허락받은 설교권을 바탕으로 리용의 대주교 Guichard († 1181)의 관할 아 래서 합법적으로 복음을 선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임이었던 Jean Bellesmains의 관할 아래서도 새로운 마찰을 일으킬 뚜렷한 상황은 오지 않았다.
Stephans von Bourbon († 1261)의 보고서에 따르면, "리용의 빈민"들과 관련해서, 특별히 발데즈의 설교에 서의 여성의 역할에 관련하여, 대주교는 발데즈에게 보낸 공개 소환장을 통해 그의 설교를 문제삼았다. 발데 즈는 이에 반발하여 자신의 설교수행을 고집했고, 행5:29 "사람보다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이 마땅하니라(독 일어성경에는: 순종해야한다)" 성경인용을 통해 대주교에게 대답했다.
3. 이단으로 정죄(몰아냄)
발데즈가 대주교의 설교금지령에 따르기를 거절한 이후, 1182/83년에 그는 대주교로부터 출교 (Excommunication)당하였다. 그리고 그의 추종자들은 리용에서 추방당하였다. 1184년에 "리용의 빈민"들 은 교황 루치우스3세가 주재한 베로나 공의회에서 발효한 "Edikt Ad Abolendam"에 의해 발데즈의 출교가 승인되고, 극심한 형벌에 처해지도록 하는 판결과 함께 처음으로 이단(이교도)로 규정되었다. 나아가 1215년 교황 이노세트3세에 의해 열린 제4차 라테란공의회에서 더심한 판결이 뒤따랐다.
"리용의 빈민"들은 그들의 박해때문에 프랑스남부와 이탈리아 북부지방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중부유럽에서 그들은 13세기 전환기 이전까지 분명히 흩어져 살고 있었다. 발도파들은 그들의 독자적인 종교관이 카톨릭과 충돌하지 않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성경의 분명한 관점은 카톨릭의 교의와 서로 충돌하기 시작하였고, 이 것이 카톨릭의 가르침에 저항하 도록 만들었다. 1218년경 연옥설, 성자숭배, 세속재판과 같은 교회법, 그리고 서약(맹세)의 거부를 명문화 하 였다. - 프랑스의 "리용의 빈민"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북부에 있던 그들의 믿음의 형제들을 "롬바르디아의 빈민"이라고 불렀다.
그 결과 1230/40년대에 처음으로 종교재판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몰아쳤다.
발데즈의 만년에 관하여는,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믿음 안에 행한 평신도사역의 관점에서 아시시의 프란츠 (Franz von Asisi)와 종종 비교되곤 한다. 그의 죽음은 어떤 문헌에는 1207년 이전이라고 하지만, 1208년 이전인 것은 확실하다.
더 많은 발데즈의 추종자들의 역사에 관하여는 "발도파(Waldenser)"를 보라.
출처
Ad Abolendam. In: Aemilius Friedberg (Hrsg.): Corpus iuris canonici, Band 2. Leipzig 1879 (fotomechanischer Nachdruck Graz 1955), Sp. 780–782.
Anonymus von Laon: Ex chronico universali Anonymi Laudunensis. In: Georg Waitz (Hrsg.): Scriptores (in Folio) 26: Ex rerum Francogallicarum scriptoribus. Ex historiis auctorum Flandrensium Francogallica lingua scriptis. Hannover 1882, S. 442–457 (Monumenta Germaniae Historica, Digitalisat)
Ignaz Döllinger: Beiträge zur Sektengeschichte des Mittelalters. Band 2, München 1890, S. 6.
Liber Visionum et Miraculorum. In: Michel Rubellin: Église et société chrétienne d’ Agobard à Valdès. Lyon 2003, S. 502f.
Durandus von Osca: Liber Antihaeresis. In: Kurt-Victor Selge: Die ersten Waldenser. Mit Edition des Liber Antiheresis des Durandus von Osca, 2 Bände. Berlin 1967. (Arbeiten zur Kirchengeschichte 37). Darin das Glaubensbekenntnis von 1180: Bd. II, S. 3–6.
Stephan von Bourbon&Passauer Anonymus: Texte in: Alexander Patschovsky, Kurt-Victor Selge (Hrsg.): Quellen zur Geschichte der Waldenser. Gütersloh 1973. (Texte zur Kirchen- und Theologiegeschichte 18), S. 15–17 und 19.
Walter Map: De nugis curialium. Herausgegeben von Montague Rhodes James. Oxford 1983, ISBN 0-19-822236-X, Kap. 31, S. 124–129.
참고문헌
Gabriel Audisio: Die Waldenser. Die Geschichte einer religiösen Bewegung. Bechtermünz, Augsburg 2001, ISBN 3-8289-4885-5.
Peter Biller: The Waldenses, 1170–1530. Between a religious order and a church (Collected Studies Series; 676). Ashgate Variorum Books, Aldershot 2001, ISBN 0-86078-798-2.
Herbert Grundmann: Religiöse Bewegungen im Mittelalter. Untersuchungen über die geschichtlichen Zusammenhänge zwischen der Ketzerei, der Bettelorden und den religiösen Frauenbewegungen des 12. und 13. Jahrhunderts und über die geschichtlichen Grundlagen der deutschen Mystik.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Darmstadt 1977 (Repr. d. Ausg. Berlin 1935).
Malcolm Lambert: Ketzerei im Mittelalter. Häresien von Bogumil bis Hus. Bechtermünz, Augsburg 2004, ISBN 3-8289-4886-3.
Amadeo Molnár: Die Waldenser. Geschichte und europäisches Ausmaß einer Ketzerbewegung. Herder, Freiburg/B. 1994, ISBN 3-451-04233-9.
Kurt-Victor Selge: Die ersten Waldenser. Mit Edition des Liber Antiheresis des Durandus von Osca (Arbeiten zur Kirchengeschichte; 37). De Gruyter, Berlin 1967.
Untersuchung und Darstellung
Der liber antitheresis
Erich Wenneker: Valdes, Gründer der waldensischen Reformbewegung. In: Biographisch- Bibliographisches Kirchenlexikon (BBKL). Band 12, Herzberg 1997, ISBN 3-88309-068-9, Sp. 1029–1035.
Paul R. Tarmann: Der Armutsbegriff der Waldenser. Eine sozialphilosophische Annäherung, Frankfurt am Main (u. a.) 2010; ISBN 978-3-631-60203-4
Martin Windischhofer: Die ersten Waldenser. In: Ders.: Die Waldenser in Österreich. Aufbruch, Verfolgung und Wandel der frühen Bewegung bis 1315. Diplomarbeit, Universität Wien 2006, S. 7– 29.
Rolf Zerfaß: Der Streit um die Laienpredigt. Eine pastoralgeschichtliche Untersuchung zum Verständnis des Predigtamtes und zu seiner Entwicklung im 12. und 13. Jahrhundert. (= Untersuchungen zur praktischen Theologie der Seelsorge; 2). Herder, Freiburg 1974, ISBN 3-451-16626-7.
본 글은 김종욱목사가 독일 위키페디아에서 번역한 글입니다. 국내 위키백과에 등록하려고 교정을 보는 중입니다. 옮기실 때에는 출처를 꼭 남겨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