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흄의 테제 2 데이비드 흄은 기하학과 수학은 자기 정의에 의해 지식을 만들기에 지식을 증가시키는 학문이 아니라고 했다. 이런 류를 선험 명제내지 분석 명제라고 한다. 1+1이나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 같은 명제를 선험 명제라 하고 물체는 중력 가속도로 낙하한다외 같은 명제를 우연히 참이 되는 명제라 했다. 왜일까? 진리 같은데 말이다. 흄은 극단적인 회의주의자였다. 모든 물체는 항상 낙하하지만 우리는 모든 물체의 낙하를 경험하지 않았고 따라서 우연히 참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인과관계를 적용하려면 필연이 필요한데 이런 인과관계는 자연을 아무리 관측해도 경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은 단지 마음의 습관일 뿐이라는 것이다. 칸트는 이 말에 머리를 맞았다. 그의 순수이성비판은 이 마음의 습관이라는 워딩에서 얻은 아이.. 더보기
흄의 테제 내가 동양철학 전공했다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좀 계셔서 서양철학 소개 포스팅을 좀 하고 있다. 물론 사서삼경을 읽기는 했다. 금강경과 반야심경, 바가바드 기타도 읽었다. 원래 학부 철학은 동서양 가리지 않는다. 졸업 논문은 비트겐슈타인으로 썼는데 그냥 짜깁기 수준이었다. 어제 칸트가 흄이 인과율의 필연이 마음의 습관이란 주장에 자신의 독단을 깨닫고 순수이성비판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했는데 그는 이 책을 통해 선험적 종합 판단과 그 명제로서 기학 물리 수학이 참된 학문이라는 주장을 한다. 그가 이성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은 신뿐만 아니라 영혼, 지유의지, 우주의 끝, 등도 말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결국 이성의 한계에 대한 선긋기인 셈이다. 우선 훔이 인과율의 필연이 경험되지 않고 마음의 습관이라 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