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자료실/인문학자료

맘 내키는 대로.. - 길 재- 맘 내키는 대로.. - 길 재- 맘 내키는 대로 (述志) 시냇가 외딴 초가 한가로이 홀로 삶에 臨溪茅屋獨閑居 달 밝고 바람 맑아 흥취 절로 일어나네 月白風淸興有餘 찾아오는 손 없으나 산새들 지지배배 外客不來山鳥語 대숲 가에 평상 놓고 누워서 책을 보네 移床竹塢臥看書 고려말 삼은 중 한 분이자 조선조 사림파의 원조로 존중받은 야은 길재(1353-1419) 선생의 만년 작입니다. 선생이 암운이 도는 고려말의 흉흉한 정계를 떠나 구미의 금오산에 은거하여 자연을 벗하며 한가롭게 지내던 때의 심사를 적은 것이라 여겨집니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외진 곳에 살지만, 그래서 찾아오는 손님도 별로 없지만, 철 따라 바뀌는 간단없는 시냇물 소리가 있고, 산 너머로 찾아드는 밝은 달과 맑은 바람이 있고, 이젠느 통역 없이.. 더보기
봄날은 가고 봄날은 가고... -설 도- 봄날은 가고 春望詞 꽃잎은 아염없이 바람에 지고 風花日將老 만날 날은 아득타 기약이 없네 佳期猶渺渺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不結同心人 한갓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고 空結同心草 우리가 흔히 부르는 '동심초'라는 노래입니다. 소월의 스승인 김억이 당의 시인 설도가 지은 '춘망사'를 우리말로 옮긴 것입니다. 한시의 번역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제 1구의 '풍화(風花)'는 바람에 꽃잎이 흔들린다는 뜻이고, '일장노(日將老)란 장차 해가 지려 한다는 의미인데, 이것을 '꽃잎이 하염없이 바람에 진다' 고 풀었으니, 우리 같은 사람으로서야 엄두도 못 낼 번역이지요, 제 2구의 '가기(佳期)'도 아름다운 약속 또는 즐거운 언약이란 뜻인데, 이것을 '만날 날은 .. 더보기
열흘 붉은 꽃은 없거니와 열흘 붉은 꽃은 없거니와 無十日花 자연의 조화에도 열흘 붉은 꽃은 없거니와 造化都無十日花 꽃이 번화한 것일수록 열매는 보잘 것 없더라 花能繁者實無多 요즘 사람들은 다투어 문장의 아름다움만 숭상하니 今人競尙文華美 근원을 몰각해 버리고서야 그것들이 다 무슨 소용 있으리 沒盡根源奈用何 퇴계 이황선생(1501-1570)의 절구 한 수를 소개합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퇴계는 우리나라의 여러 뛰어난 학자 중에서도 특히 심오하고 정밀한 철학적 사색을하신 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 퇴계가 신중하지 못하고 겉모습 치장에만 매달리는 당시의 속된 선비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칠언 절구입니다. 속을 알차게 가꾸는 데는 소홀하면서 겉모습 꾸미는 일에만 전전긍긍하는 잘못된 세태가 어찌 퇴계선생 당시에만 국한된 문제였겠습니까만.. 더보기
하얀 길 하얀 길 미스하라 유끼 오랫동안 헤메이다 마침내 바른 길 찾아오면 길은 아무 말 하지 않아 칭찬도 나무람도 짐 될까 저어 '돌아왔니' 한 마디 조차 다만 지금부터 걸어갈 길 오롯이 하얗게 가리킬 뿐 걸어온 길 보담 지금부터 걸어갈 길이 늘 중요하니까 더보기
상처에 대하여 상처에 대하여 -복효근- 오래 전 입은 누이의 화상은 아무래도 꽃을 닮아간다. 젊은 날 내내 속썩었쌓더니 누이의 눈매에선 꽃향기가 난다. 요즈음 보니 모든 상처는 꽃을 꽃의 빛깔을 닮았다 하다 못해 상처라면 아이들의 여드름마저도 초여름 고마리꽃을 닮았다 오래 피가 멎지 않던 상처일수록 꽃향기가 괸다. 오래된 누이의 화상을 보니 알겠다. 향기가 배어나는 사람의 가슴속엔 커다란 상처 하나 있다는 것 잘 익은 상처에선 꽃향기가 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