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생크탈출이 신학적인 이유
1. 쇼생크가 애굽 왕조 이름이다.
2. 원제가 Shawshank Redemption, 곧 쇼생크 구속이다.
3. 앤디 탈출 장면에 교도소장 노턴이 펼친 성경이 출애굽기 첫 페이지인데 탈출하며 남긴 편지에 인용한 교도소장의 워딩이 "이 책에 구원이 있다"였다.
4. 앤디 듀프레인은 죄 없이 감옥에 갇힌다. 죄 없으신 그리스도의 성육신 모티프의 변주다.
5. 앤디의 아내의 외도로 인한 누명인데 이는 호세아의 모티프를 보여준다.
6. 앤디의 감옥에서의 첫 식사에서 유기자의 상징인 브룩스와 그가 줏어 기르는 까마귀 제이크에게 내어주는 애벌레 한 마리는 브룩스에 대한 자비로운 은총을 보여준다. 하늘을 나는 새를 먹이시는 하나님에 대한 모티프로 나중에 브룩스가 가석방 될 때, 제이크를 풀어주는데 이는 브룩스에 대한 상징과 은유다. 그는 가석방 후 자살로 삶을 마감한다.
7. 래드는 선택자의 상징이며 브룩스와 같이 가석방되고 쇼생크에 길들여져 자유가 없었으나 앤디와의 약속으로 약속의 나무 아래 영혼의 수호자를 상징하는 흑요석 아래 놓인 편지와 돈을 받는다. 그 돈으로 약속의 땅인 지후아타네호로 향한다.
8. 메인 플롯에서 탈출은 앤디가 하지만 진정 쇼생크에서 탈출하는 사람은 래드다. 왜냐면, 앤디는 그리스도의 상징이며 그는 마음으로는 갇힌적이 없기 때문이다.
9. 앤디의 자유를 상징하는 모차르트의 아리아가 2중창인 것은 그리스도와 교회의 상징이다.
10. 스티븐 킹의 단편소설의 원제는 리타 헤이워즈와 쇼생크 탈출로 앤디가 판 구멍과 하수구는 일종의 출산의 산도를 상징한다.
11. 문학에서 여성은 흔히 구원으로 자주 묘사된다. 도스도예프스키의 죄와 벌의 라스콜니코프는 순결한 창녀 쏘냐에게 자기 죄를 고백한 후 구원을 얻는다. 라스콜은 러시아어로 "단절"을 의미하고 쇼생크는 "갇힘" 혹은 노예 상태를 의미한다. 리타 헤이워즈의 사진 너머에 뜷린 굴은 자유에의 희망과 산도를 따라 출생하는 구원을 상징한다.
12. 스티븐 킹의 다른 소설, 미스트는 종교의 부정적 모습을, 쇼생크는 긍정적 모습을 보여준다.
13. 교도소장 노턴과 간수는 율법의 상징이다. 교도소장은 쇼생크는 규율과 성경으로 다스려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구원은 율법에 있지 않고 그것을 해방하는 자 안에 있었다.
14. 누가복음에서 변화산에서 예수께서 고지하시는 것이 예루살렘에서의 별세, 곧 출애굽이며 이 영화는 앤디의 탈출을 이 엑소더스로 묘사한다. 노턴이 펼친 성경이 엑소더스1장이고 거기 미술용 해머를 보관한 자국이 남아 있다. 이것 역시 인상적 장치로 체스판의 말을 조각하는 도구 곧 창조와 다스림의 상징이다.
15. 래드의 가석방 심사는 성화의 과정처럼 보인다. 내가 교화되었다고 말하는 순간 율법으로 다스려지는 그곳은 그의 가석방을 거절한다. 그러나 마지막 순간 모든 것을 포기했을 때, 오히려 자기 본성을 있는대로 인정했을 때, 그 심사는 받아들여지고 그때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자유의 시험이 주어진다. 앤디와의 약속과 희망을 품은 탈주, 곧, 구속의 여정이 열린다.
16. 앤디가 꼭 가보라고 한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에 나올 법한 나무 아래는 앤디가 아내에게 청혼한 장소다. 그리고 거기에 래드를 초대함으로 이 관계가 혼인관계와 같은 언약 관계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17. 또 생각나면 나머지는...
'블로그 > 목회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이드존스와 개혁파 (0) | 2023.01.09 |
---|---|
창조 이야기 (0) | 2023.01.09 |
벌콥, 전적 부패 교리 (1) | 2023.01.08 |
행위언약과 원죄 교리 (0) | 2023.01.08 |
전적 타락.. 위키백과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