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인용한 위키 백과의 첫 문장만 번역해보면,
존 칼빈 은 "전적인 타락"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겉으로는 법을 지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겉으로 좋든 나쁘든 인간의 모든 행동을 하나님을 불쾌하게 만드는 내적 왜곡이 남아 있음을 의미했습니다.
전적 타락이 겉으로 율법을 지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전적 타락은 우리가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선을 행하기에는 모든 부분에 부패가 침투해서 구원의 공로로서, 그와 같은 행위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구원의 공로로서 모든 행위는 그리스도에게서 나옵니다.
이 말은 하나님이 요구하시는 선이 "완전"이라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우리를 거기에 이를 수 없는 우리 전영역이 부패한 존재입니다. 그러므로 율법으로 좀 행함으로 우리가 스스로 자랑할 것이 없으며 불신자들은 이 때문에 그리스도께로 인도함을 받는 것입니다. 이것을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19장6항이 설명하는 것이구요.
이는 각주 14번에 나오듯이 멀러의 책, Muller, Richard A. (2012). Calvin and the Reformed Tradition.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p. 51.에 나오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John Calvin used terms like "total depravity" to mean that, despite the ability of people to outwardly uphold the law, there remained an inward distortion which makes all human actions displeasing to God, whether or not they are outwardly good or bad.[14] Even after regeneration, every human action is mixed with evil.[15] Later Calvinist theologians were agreed on this, but the language of the Canons of Dort as well as the 17th-century Reformed theologians which followed it did not repeat the language of "total depravity", and arguably offer a more moderate view on the state of fallen humanity than Calvin.[14]
14. Muller, Richard A. (2012). Calvin and the Reformed Tradition.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p. 51.
15. Bouwsma, William J. (1989). John Calvin: A Sixteenth-Century Portrait. Oxford University Press. p. 139.
https://en.wikipedia.org/wiki/Total_depravity?fbclid=IwAR24Ni_1s1OkBiSvWAojaC9iHHz-jVWiuAQ9rmPSCKGnnJ9HIP7m-FmbSE8
'블로그 > 목회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콥, 전적 부패 교리 (1) | 2023.01.08 |
---|---|
행위언약과 원죄 교리 (0) | 2023.01.08 |
유전과 원죄 (0) | 2023.01.08 |
칙필레와 트루엣 (0) | 2023.01.08 |
제임스웹 망원경이 시사하는 바 (0)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