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한국 장로교회 12신조 한국 장로교회 12신조서 언대한예수장로회에서 이 아래 기록한 몇 가지 조목을 목사와 강도사와 장로와 집사로 하여금 승인할 신조로 삼을 때에 대한 예수교 장로회를 설립한 모(母) 교회의 교리적 표준을 버리려 함이 아니요, 오히려 찬성함이니 특별히「웨스트민스터」신도게요서(信徒揭要書)와, 성경 대·소요리문답은 성경을 밝히 해석한 책으로 인정한 것인 즉 우리교회와 신학교에서 마땅히 가르칠 것으로 알며 그 중에 성경 소요리문답은 더욱 우리 교회 문답책으로 채용하는 것이다.신 조1.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니 신앙과 본분(本分)에 대하여 정확무오(正確戊午)한 유일(唯一)의 법칙이다.2. 하나님은 한 분뿐이시니 오직 그만 경배할 것이다.하나님은 신(紳)이시니 스스로 계시고 아니 계신 곳이 없으시며 다른 신과 .. 더보기
유진 벨(Eugene Bell, 1868-1925) 유진 벨(Eugene Bell, 1868-1925) 유진 벨(Eugene Bell, 1868-1925)은 구한말에 미국의 남장로교에서 한국에 파송되었던 선교사이다. 유진 벨 선교사의 외증손인 스티브 린튼(Stephen W. Linton) 박사가 1995년 유진벨재단을 설립하고 이후 대북 의료 지원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어, 이제 '유진 벨'이라는 이름이 우리에게 그리 낯설지는 않다. 100여 년 전 유진 벨 선교사가 한국 땅에 들어와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며 교육과 의료 사업을 벌인 이래, 그의 한국 사랑은 자손들에게 이어져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4대째 이어지고 있는 유진 벨 가문의 한국 사랑은 많은 사람들에게 적지 않은 감동을 전해 준다. 유진 벨 선교사는 첫번째 아내 로티 위더스픈(Lotti.. 더보기
개혁교회의 형성과 발전과정 개혁교회의 형성과 발전과정김영한 교수 1. 신약교회의 설립과 고대교회 1. 오순절 성령강림을 기점으로 예루살렘에 신약의 교회가 태동하게 되었고, 사도들의 복음 전파로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각 지역에 교회가 설립되었고, 사도들과 선지자들에 의해 교회의 터가 놓여졌다(사도행전 참조). 2. AD 70년을 기점으로 신약의 교회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교회는 대내외적으로 핍박과 이단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보존, 성장해 갔다. 3. 로마의 황제 콘스탄틴의 개종과 함께 밀란의 칙령(313년)으로 교회는 제국 안에서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 이때 아리우스와 아타나이스우 사이에 기독론 논쟁이 일어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325년 니케아 회의가 열렸다. 4. 제국의 국교가 된 교회는 점점 성장하는 중에.. 더보기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개혁주의란 무엇인가?김영우 교수 1. 개혁주의의 정의 어떤 이들은 16세기 로마 가톨릭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발흥한 신학운동을 통틀어서 개혁주의라고 부릅니다. 이 경우 (1)북부독일의 루터, 멜랑히톤, 요하네스 부겐하겐 (2)남부독일의 마르틴 부써, 쟝스트롬 (3)스위스북부 취리히의 쯔빙글리, 불링거 (4)스위스남서부 제네바의 화렐, 칼빈, 베자를 비롯하여 (5)자유교회파 (6)재세례파 등이 다 개혁주의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일반적인 견해가 아닙니다. 통상 개혁주의의 갈래를 살필 때 (1)독일 개혁주의로는 스트라스부르구와 팔라틴 개혁주의로 (2)스위스 개혁주의로는 취리히와 제네바 개혁주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로버트 레담(Robert Letham, New Dictionary of Theology.. 더보기
칼빈의 미사 참석자들의 양심을 향한 권고 칼빈의 미사 참석자들의 양심을 향한 권고 조진모 교수 16세기 프랑스에서 위그노들에 대한 심한 핍박이 계속되자, 이들 가운데서 신앙의 타협을 택하는 성도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가톨릭 미사에 참석한 자들은 하나님은 외적인 행동보다 내적 신앙을 중요하게 여기신다고 변명하면서 자신들의 위선적 태도를 정당화하려 했다. 칼빈은 그들의 양심을 향해 미사에 참석하지 말 것을 권고하는 동시에 망명이나 또는 순교를 선택할 것을 엄히 촉구했다. 칼빈의 양심론은 하나님 중심적이다. 양심은 죄를 책망할 수 없지만 하나님의 심판은 분명히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자연신학을 인정했던 것은 아니다. 칼빈은 양심을 향한 고소에 대해서 사람에 따라 두 가지의 상반되는 양심의 반응을 소개한다. 악한 양심을 가진 자는 쉬지 않고 .. 더보기
칼빈과 제네바 장로회의 칼빈과 제네바 장로회의1. 들어가는 말 루터와 츠빙글리를 1세대 개혁자라고 한다면, 칼빈은 종교개혁 제2세대로서 성경신학자이며, 조직신학자이며, 목회자이며, 설교가이다.1) 종교개혁자이자 그의 움직임과 발걸음은 당시 사회와 정치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 사실이다. 또한 그는 종교적인, 사회적인 문화적인 분야를 망라해서 유럽역사에 한 새로운 실체를 남긴 능동적인 사회의 지도자였다. 언어에 남다른 학식을 갖추고 있었으며,2) 사회의 조직과 기관에 통찰력을 제시하였다. 도시의 광범위한 필요와 요구에 해결책을 제시한 사람이다. 칼빈을 단지 한 사람의 신학자로만 보려는 선입관이 고정관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를 이해하는데는 그 한계가 있을 것이다. 칼빈은 제네바에서 목회하면서 교회의 관한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 더보기
웨일즈 부흥운동의 주역 이반 로버츠 웨일즈 부흥운동의 주역 이반 로버츠1904년 영국의 웨일즈 부흥운동의 주역은 이반 로버츠이다.전형적인 웨일즈 광부의 아들로 태어난 로버츠는 성직자가 되기 위해서 신학교에 들어가 침체된 신앙의 회복을 위해 10년이상 기도했다.그가 참석했던 한 집회의 주제는 ‘나를 굴복하게 하소서’였는데 이것이 특별히 로버츠의 마음을 사로잡았다.그리고 성령께서 “이것이 네가 필요로 하는 것이다”고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로버츠는 앞으로 나가서 “오 주여! 나를 굴복하게 하소서”라고 간절히 기도했다.그후 그는 위대한 전도자가 되었다.부흥의 불길"놀라운 부흥이 웨일즈 전역을 덮고 있다. 나라 전체와 도시에서, 지하의 탄광까지 복음의 영광으로 불타고 있다."1904년 이 거대한 영적 각성의 지도자는, 머리카락은 탄진으로 뒤범벅이고.. 더보기
루터의 "95개조 논제" Disputatio pro declaratione virtutis indulgentiarum. 1517. (Weimarer Ausgabe, I, S. 233-238.) Die 95 Thesen. (Buchwald, Georg. Doktor Matin LUTHER Ein Lebensbild fuer das deutsche Haus. Leipzig und Berlin: Druck u. Verlag von B. G. Tuebner, 1914. s. 103-110.)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Ninety-five Theses. (Luther`s Ninety-five Theses. St. Louis, Mo. : concordia Publishing Houres, n.d. pp.17-3.. 더보기
조지 길레스피(George Gillespie, 1613-1648) 조지 길레스피(George Gillespie, 1613-1648)목사의 생애와 사상서창원 목사(삼양교회, 개혁주의 설교연구원)조지 길레스피 (George Gillespie) 목사는 정열적인 설교자요 목회자인 부친 존 길레스피 목사와 당대의 뛰어난 신학자요 역사가인 패트릭심프슨(Patrick Simpson) 목사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1613년 1월27일, 스코틀란드의 커칼디(Kirkcaldy)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외조부로부터 헬라어와 히브리어를 습득하였고, 부친의 탁월한 설교능력을 바라보면서 자랐다. 이때에 길레스피는 부친과 외조부로부터 장로회 사상을 확고히 배웠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장차 삶이 어떻게 인도되는지를 결정한 문제이기도 하였다. 그 외 그의 어린시절에 대하여는 알려진 것.. 더보기
세계교회협의회(WCC)와 종교다원주의: 1990년의 바르 선언문(Baar Statement)을 중심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와 종교다원주의: 1990년의 바르 선언문(Baar Statement)을 중심으로황대우 목사 고신대학교와 동대학원 졸업(M.A. M.Div. Th.M.) 네덜란드 기독개혁신학대학 졸업 (Theologische Universiteit van de Christelijke Gereformeerde Kerken in Apeldoorn) (Th.D.) 학위논문 : "Het mystieke lichaam van Christus. De eccelesiologie van Mertin Bucer en Johannes Calvijn"(Theologische Universiteit te Apeldoorn. 2002) -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 마르틴 부써와 존 칼빈의 교회론』 (아뻘도른 소재 신학대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