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한국 새벽기도회의 무교신앙의 영향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복음주의 신학 복음주의 신학 정지영 간사 IVP *복음주의 DNA: 종교개혁(개신교)+대각성(청교도+경건주의) *복음주의 특징: 1)성경주의 2)십자가중심주의 3)회심주의 4)행동주의 + 5) 초교파주의 *국가별 복음주의 정의 영국 복음주의: 종교개혁(성공회)+대각성(청교도+경건주의+감리교+케직)를 DNA로 가지고 있으며, 18C 이후 영국 전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에 침투한 신학적/사회적 자유주의를 성공회의 예전(고교회파)과 청교도 신학, 감리교의 열정, 경건주의의 영성을 근거로 저항하면서 분열과 연합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개신교 신학 운동. 미국 복음주의: 종교개혁(개신교)+대각성(청교도+경건주의+오순절)를 DNA로 가지고 있으며, 18,19C 신학적/사회적 자유주의에 저항하면서 반지성주의, 반문화주의,.. 더보기
20세기 세계복음주의 지형도_제3강 [제3강 강의개요] 20세기 세계복음주의 지형도 그리기(현대기독연구원/기독연구원 느헤미야 2014년 여름 강좌) 강사: 이재근(PhD, Edinburgh) 제3강 (2014년 7월 1일 화요일, 19:30-21:30) 복음주의자는 성경을 어떻게 읽었는가? 20세기 영미 복음주의의 역사적 발전 1. 미국 (신)복음주의의 시작과 기원 ① 칼 헨리: 『복음주의자의 불편한 양심』(The Uneasy Conscience of Modern Fundamentalism, 1947), 노던침례신학교 교수, 보스턴대학(BU) 박사 ② 해럴드 오켕가: 전미복음주의협회(NA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1943 / 근본주의 ACCC 및 에큐메니컬 FCC 대응) 창립회장, 보스턴 파크.. 더보기
20세기 세계복음주의 지형도_제5강 20세기 세계복음주의 지형도 그리기(현대기독연구원/기독연구원 느헤미야 2014년 여름 강좌) 제5강 (2014년 7월 15일 화요일, 19:30-21:30) 로잔(1974) 이후 세계 복음주의는 어떻게 변했나? 복음주의 사회성의 스캔들? 1. 상호 연결된 주제들:『복음주의 지성의 스캔들』(The Scandal of the Evangelical Mind, by Mark Noll, 1994/ 한국 IVP, 2010) / 『복음주의 정치 스캔들』(The Scandal of Evangelical Politics, by Ronald Sider, 2008/ 홍성사, 2010) 2. 이것이 왜 스캔들인가?: 19세기 복음주의 부흥(2차대각성)의 열매로서의 복음전도와 사회개혁(금주, 노예제폐지, 성경번역, 문서선교, .. 더보기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가 작성되기까지의 간추린 연표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가 작성되기까지의 간추린 연표1450- 구텐베르크, 금속활자에 의한 인쇄술 발달1485 - 헨리7세, 튜더 왕가 시작, 절대주의정권 기초확립 1488 - 디아스, 희망봉 발견 1492 - 콜럼버스, 신대륙 발견 1498 - 바스코 다 가마, 인도 항로 개척 1500 - 로마교황청, 면죄부 판매 1509 - 헨리8세, 즉위 1511 - 에라스무스, 1514 - 마키아벨리, 1516 - 토마스 모어, 1517 - 루터, 독일 종교개혁 시작 1519 - 마젤란, 세계일주 항해 1534 - 영국 국교회 성립(수장령),헨리8세의 캐서린과의 이혼문제가 발단 1536 - 칼빈, 종교개혁 1543 -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주장 1545 - 트리엔트공의회 1547 - 에드워드6세 1553 - 메리여왕.. 더보기
존 낙스(John Knox, 1513-157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스트라스부르크에서의 부처의 예배의식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청교도의 ‘두 얼굴’: 뉴잉글랜드의 ‘마녀 사냥’(1692년)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스펄전과 내리막길 논쟁 스펄전과 내리막길 논쟁 (청교도 시대 마지막에) 이런저런 방법으로 처음에는 사역자들이 그 다음에는 교회들이 '내리막길'에 접어들었고, 어떤 경우에는 그 걸음이 급하여 대개 매우 참혹했다. 사역자들이 옛 청교도의 경건한 생활과 옛 칼빈주의 교리에서 벗어나는 만큼, 일반적으로 그들의 설교는 진지함이 떨어지고 단순해지고, 그들이 이야기하는 문제는 더 사변적이고 덜 영적이며 계시의 위대한 핵심 진리보다 신약의 도덕적 가르침이 더 많았다. 자연 신학은 복음의 위대한 진리가 마땅히 차지했던 자리를 대신하는 적이 많고, 설교에는 그리스도가 덜 등장하게 되었다. 첫째는 설교자와 그 다음으로는 일반 사람들의 성품과 생활에 그에 상응하는 결과가 매우 분명하게 나타나게 되었을 뿐이다.The Sword And The Trow.. 더보기
Nadere Reformatie Nadere Reformatie is a Dutch term that refers to a period of church history in the Netherlands, following the Reformation, from roughly 1600 until 1750. The term is most often translated into English as either "Dutch Second Reformation" or "Further Reformation," with the latter translation being preferred.In broad terms, the period and its representatives are known for their desire to apply the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