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신론

레이몬드의 위격 개념과 상호내재 재념 위격 개념 "person은 어원론적으로 봤을때 라틴어 페르소나에서 유래했는데 그것은 “을 통하여”라는 페르와 “말하다“는 소나가 합쳐진 말로서 로마의 배우가 연극할 때 쓰고서 말하는 가면과 그 배우가 묘사하는 구체적인 인물을 뜻한다. 그 단어 자체가 니케아 신조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단어를 사용한데에는 오랜 역사가 있다. 그 단어를 사용한 것은 터툴리안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단어는 한 하나님안에 계시는 세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리고 각각 하나님으로서 존재하시는 세분을 하나의 신적본질과 구분하기 위해서 마침내 교회를 통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삼위일체 문맥에서 위격을 하나의 의식하는 자아 다시 말해서 자기 의식의 중심으로 이해한다.... 하나님 안에 .. 더보기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김 명룡(장신대 교수) 서 언 기독교 교리 가운데 삼위일체론은 일반적으로 이해가 거의 불가능한 극난한 교리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회의 성도들 가운데 삼위일체론을 바르게 아는 사람들은 매우 적고, 많은 이들은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아서 포기하기도 한다. 삼위일체론은 정말로 이해가 안되는 그런 극난한 교리일까? 삼위일체론이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한국교회 안에는 이단적으로 보이는 잘못된 삼위일체론이 활개를 치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삼위일체론은 성서에 근거가 없고, 교회가 발전시킨 사변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셋이 하나가 되고 하나가 셋이 되는 그런 신관이 성서 안에 어디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먼저 밝혀야 하는 .. 더보기
칼빈의 하나님/인간의 관계이해 칼빈의 하나님/인간의 관계이해 변증법적인가 아니면 삼위일체론적인가 ?칼빈의 관심은 신약성경의 본래적인 경륜적-삼위일체론적 관심과 니케아 신학자들의 동기를 재발견, 요약한 것이었다[1]. 스콜라신학은 삼위일체론을 먼저 주어진 성경적 진술, 교부들의 주장, 철학적 명제들을 기정 논리에 의거하여 공리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연역적인 방식으로 전개하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와 대조적으로 칼빈은 귀납법적인 방식, 곧 신약성경 주석의 자료들과 거기에서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해 계시된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의 세 위격들의 단일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필요한 성경적, 성경외적인 일반화로까지 나아갔다. 삼위일체론을 체계적으로 전개함에 있어서 칼빈은 단일한 신적 본질(ousia)과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hypos.. 더보기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II. 그의 계시안에 계신 하나님 (God in his Revelation) 1. 교의학 안에서의 삼위일체론의 자리 (The Plac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Dogmatics) 2. 삼위일체론의 근원 (The Roo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3. 삼위일체론의 흔적들 (Vestigium Trinitatis) III. 하나님의 삼위일체 (God's Three-in-Oneness) 1. 삼중성 속의 단일성 (Oneness in Threeness) 2. 단일성 속의 삼중성 (Threeness in Oneness) 3. 삼위일체 (Three-in-Onenes.. 더보기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 [정리]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 [정리] 이성호 [20세기의 신학을 바르트가 열었다면, 21세기의 신학은 판넨베르크가 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합시험 준비하다가 간단히 정리한 것을 올립니다.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를 이해하는데 조금의 도움의 되었으면 합니다] 판넨베르크게 있어서 삼위일체론은 매우 중요한 신학적으로 중요한 교리인데 왜냐하면 하나님의 인격(personal: 한국말로는 신격이라는 말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하나님의 본성이 사랑이시고 인격을 가진 분이라면 필연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일 수밖에 없다. 사랑과 인격이라는 것은 사랑의 대상을 반드시 필요로 한단느 것을 의미하는데, 만약 사랑이신 하나님께서 삼위일체로 존재하지 않으신다면 하나님은 필연적으로 사랑의 대상,.. 더보기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바른 이해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바른 이해김명용 교수오늘날 한국교회가 가르치는 교리 가운데 성도들을 가장 당혹케 하는 교리가 바로 삼위일체론이다. 세 분 하나님이 한 분이 되고 한 분 하나님이 세 분이 되는 이 이상한 교리는 많은 사람이 이해하려고 노력하다가 포기하기도 하고 또 세 분 하나님을 하나님의 세 가지 존재양태, 곧 양태론적 방식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의 존재는 어떤 신비일까?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이란 도대체 어떠하신 하나님을 의미하는 것일까?I.삼위이신 하나님하나님의 삼위되심을 이해할 때 첫째로 중요한 것은 삼위라는 말의 뜻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삼위라는 말은 하나님이 세 분이라는 말이다. 한국 내의 많은 성도들과 교회들은 하나님의 삼위되심의 삼위를 세 분으로 생각하지 않고, 셋이긴 .. 더보기
성경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구조에서 본 J. 스파이크 만의 삼위일체론 비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교회를 위한 삼위일체 신학 교회를 위한 삼위일체 신학 김명용 교수 서언 기독교를 기독교로 만드는 기초는 삼위일체론이다. 삼위일체론이 빠진 기독교 신앙은 진정한 기독교 신앙으로 보기 어렵다. 그만큼 삼위일체론은 기독교 신앙의 정수이자 뼈대이다. 그런데 이 삼위일체론은 많은 사람에게 이해가 쉽지 않아서, 삼위일체론 이해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고, 일부는 이해하려다가 잘못 이해해서 삼신론으로 빠지든지 혹은 일신론으로 빠진다. 삼신론과 일신론은 고대교회 때부터 이단이었고 바른 기독교 신앙은 아니었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 삼위께서 한 하나님으로 계신다는 삼위일체론은 때로는 성서와 관계없는 고대교회의 신학적 사변이라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 되었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들은 성서 안에는 삼위일체론을 뒷받침할 수 .. 더보기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 [ 본문: 요 1:1-3, 14, 18, 요 14: 26, 15;26, 16:13-15 ] 이승구 이단에 빠지지 않고 바른 신앙 생활을 해 나가는 좋은 길의 하나는 우리의 신앙의 내용이 2000년의 역사를 지닌 공교회의 신앙에 충실한 것인지를 점검해 보는 것입니다. 공교회의 신조 가운데서 가장 보편적인 신조는 2세기 로마 교회의 세례 때에 신앙 고백문으로 사용된 이래로 많이들 사용되어 온 사도 신조입니다. 그래서 이제부터 우리는 우리의 신앙의 내용을 잘 정리해 주고 있는 사도 신조의 내용을 하나하나 더듬어 가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사도 신조의 내용을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작성자들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즉, 성부와 우리의 창조에 대한 부분, 성자와 우.. 더보기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신앙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신앙 [ 본문: 마태복음 6: 25-33 ] 이승구 우리는 지난번에 성경에 나타난 창조의 사실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러나 창조의 사실을 성경에 기록된 대로 믿는다는 것만으로는 창조 신앙을 다 말한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물론 지난번에 말한 대로 창조의 사실을 성경에 기록한대로 믿지 않는다면 그것은 참된 창조 신앙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창조 사실은 성경에 기록한대로 믿지 않으면서 창조의 의미를 강조하고 그것은 믿으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현대의 신학적 정황 가운데서는 창조 사실을 성경에서 기록한 그대로 받아들이며 믿는 일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만큼, 아니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런 창조 사실을 나 자신과 연관시켜서 생각하고 그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