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승수의 강해설교/레위기강해

번제에 관한 규례(레 1:1-17)

번제에 관한 규례(레 1:1-17) 


노승수 목사


[1]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일러 가라사대 [2]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3]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문에서 여호와 앞에 열납하시도록 드릴지니라 [4] 그가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리하면 열납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5] 그는 여호와 앞에서 그 수송아지를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문 앞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 [6] 그는 또 그 번제 희생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뜰 것이요 [7]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은 단 위에 불을 두고 불 위에 나무를 벌여 놓고 [8]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뜬 각과 머리와 기름을 단 윗불 위에 있는 나무에 벌여 놓을 것이며 [9] 그 내장과 정갱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단 위에 불살라 번제를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10] 만일 그 예물이 떼의 양이나 염소의 번제이면 흠 없은 수컷으로 드릴지니 [11] 그가 단 북편에서 여호와 앞에서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단 사면에 뿌릴 것이며 [12]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 머리와 그 기름을 베어 낼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다 단 윗불 위에 있는 나무에 벌여 놓을 것이며 [13] 그 내장과 정갱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가져다가 단 위에 불살라 번제를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14] 만일 여호와께 드리는 예물이 새의 번제이면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새끼로 예물을 삼을 것이요 [15] 제사장은 그것을 단으로 가져다가 그 머리를 비틀어 끊고 단 위에 불사르고 피는 단 곁에 흘릴 것이며 [16] 멱통과 그 더러운 것은 제하여 단 동편 재 버리는 곳에 던지고 [17] 또 그 날개 자리에서 그 몸을 찢되 아주 찢지 말고 제사장이 그것을 단 윗불 위의 나무 위에 살라 번제를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전체적으로 : 번제에 대한 규례


레위기는 크게 4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7장은 제사에 대한 규례, 8-10장은 제사장 제도의 설립 11-16장은 정결과 부정의 규례 17-27장은 거룩한 삶의 규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하나님과 교제에 필요한 성도의 삶의 규례를 다룬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별히 로마서는 하나님이 이 율법을 주신 이유가 죄를 깨닫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했습니다(롬 3:20). 죄를 깨달은 죄인이 깨닫는 절망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죄인이 하나님께 어떻게 나아갈 수 있는지를 다루는 책이 바로 레위기입니다. 사실 성경 전체에서 가장 지루하고 읽고 이해하기 힘들며 삶 가운데 적용하기 어려운 책이 있다면 레위기가 단연 으뜸으로 꼽히지 않겠습니까? 이것은 레위기에 대한 오해입니다. 레위기는 오히려 죄 가운데 있는 이 백성에게 희망을 전해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과의 사귐에서 있어서 어떤 주의할 바가 있는지를 성도들로 세밀하게 깨닫게 하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차례로 본문을 살펴 보겠습니다. 


오늘 본문은 7장까지의 5가지 제사 중에서 번제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우리말로는 전체를 태워서 드린다 하여서 '태울 번'이라는 한자를 써서 '번제'로 옮겼지만, 원래 히브리 원어는<올라>로 '올라간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단에서 제물을 태울 때, 그 연기가 하나님께 올라가는 것을 보면서 시각적으로 이 백성으로 하여금 하나님이 이 제사를 받으신다는 신앙교육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가죽을 뺀 전체를 불에 살라 바치기 때문에 우리말에서는 굽다 사르다는 뜻의 태울 번자를 써서 번제로 번역을 했습니다. 이 제사는 전체를 드린다는 의미에서<전적인 헌신>에 대한 상징으로 드려졌습니다. 그리고 안식일의 규례에도 불구하고 상번제라 하여서 번제는 거르지 않고 항상 드리도록 하였습니다(민 28:10). 


본문 1절에 하나님께서 모세를 회막에서 부르시고 그에게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회막은 직역을 하자면, '만남의 장막' 정도로 번역이 가능한데요. '성막'이라는 표현과 다른 단어입니다. 이 회막과 성막이 같은 것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다른 것을 가리키는지는 사실 확정지어서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오늘 레위기 1장 1절이 바로 이 만남의 장소 곧 하나님과 사람이 만나는 이 장소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할 것입니다. 그리고 모세를 그곳으로 부르시고 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도 우리를 만남의 장소로 부르실 것입니다. 나는 언제 주님과 만나고 있습니까? 나는 주님과 교제를 위해서 나만의 특별한 장소나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까? 
2절에 누구든지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생축 중에서 드려야 한다고 말씀합니다. 양은 양만을 가리키지 않고, '작은 가축의 떼'를 가리키는 말로 '염소'도 포함이 됩니다. 예물이라는 단어는 신약에서 익숙한 단어입니다. 예수께서 바리새인의 잘못을 지적하실 때, '고르반' 즉 하나님께 드린 바 되었다고 하고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 죄에 대해 지적하실 때, 나온 단어 바로 '고르반'입니다(막 7:11). 이 예물이란 하나님께 드리는 것입니다. 본문 중에 그런 뜻이 분명하지요. 이것은 온전히 하나님의 것임을 인정하는 제사입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인이라고 할 때, 이는 기름부은 받은 자라는 의미가 있지요? 여기서 그리스도의 삼중직 곧 선지자, 제사장, 왕의 역할을 우리고 같이 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하는 것입니다. 특별히 성령의 기름부음을 받아서 신자는 제사장의 직분을 행하는데, 나 자신을 감사의 산 제물로 주님께 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롬 12:1,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32문). 이처럼 번제는 단순히 제물을 드리는 제사가 아니라 우리 자신을 온전히 주님의 것으로 드리는 제사의식입니다. 이는 죄나 혹은 과실을 말미암거나 혹은 관계를 회복할 목적으로 드리는 제사가 아니라 우리 존재 전체가 주님의 것임을 인정하는 신앙고백적 제사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제물을 드리는 방식은 '흠없는' 것으로 드려서 여호와께서 열납하시도록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3절 참조).


4-7절은 번제를 드리는 당사자가 밟아야 할 절차들을 7-9은 제사장이 밟아야 할 절차들을 설명합니다. 먼저 제사의 당사자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합니다. 이 안수의 절차는 죄를 전가시키는 절차입니다. 마치 그리스도께 우리의 죄가 전가되어 우리에게 더 이상 정죄함이 없는 것과 같이 이 전가의 절차에 의해서 이 제사가 열납이 됩니다. 그러나 히브리서가 이미 말한대로 황소와 염소의 피가 능히 죄를 없이 하지 못합니다(히 10:4). 그러면 왜 구약의 백성들에게 이런 절차를 요구하실까요? 그것은 이 제사를 통해서 구원을 이루라는 것이 아니라 이는 장차 오실 그리스도를 믿음오로 구원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앞서 번제는 죄를 위한 제사가 아니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속죄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지요. 이는 죄의 성격 때문에 그렇습니다. 이후의 나오는 제사들 곧 속죄제나 속건제 같은 경우 이는 우리의 과실과 과오에 관한 것이라면 이 번제는 근본적으로 우리의 본성 깊은 곳에 죄를 말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받으신다는 것은 우리의 죄를 간과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일이지요(롬 3:25). 


제사를 드리는 본인이 소나 양을 잡고 제사장들은 그 피를 받아 번제단의 사면에 뿌립니다. 또 제사자는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뜨는 일까지 합니다. 이는 사실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지요. 그러면, 제사장들이 단위에 불을 두고 나무를 벌려 놓은 다음 번제물들을 나무 위에 벌려 놓되 내장과 정갱이는 물로 씻어서 올려 놓아 사릅니다. 이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 하나님께 향기로운 제사라고 합니다. 여기서 제사장의 역할을 피뿌림과 제사의 준비와 제물을 올리는 일, 제사자의 역할을 안수하고 소를 잡고 그것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뜨는 일로 구분이 됩니다.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주님의 역할과 우리의 역할이 여기서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의 역할은 사실 온전한 헌신입니다. 롬 12:1-2절에서 보듯이 우리 자신을 산 제물로 온전히 드려야 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영적 예배라 했는데, 이<영적 예배>는<합당한 예배>로 번역할 수 있고, 더 직역하면,<이성적 예배>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절에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를 분별하라는 말씀이 따라 나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참된 제사는 이처럼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이성적 활동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그것은 바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지하여서 이루어지는 일이기도 합니다. 오늘 본문은 제사로 나아오는 자가 어떤 절차를 거쳐 하나님께 나아와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상세하게 보여줍니다. 제물을 하나님께 드리는 일은 제사장의 역할이지만 자신을 온전히 죽이고 각을 뜨고 자신의 죄를 그리스도께 온전히 전가하는 믿음은 우리의 역할인 셈입니다. 


이후 10-13절은 양과 염소의 번제일 경우를 14-17절은 비둘기로 드리는 번제일 경우를 설명합니다. 이런 세세한 설명을 하는 까닭이 무엇일까요? 하나님은 부요한 자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가난한 자의 하나님이시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누구나 하나님께 나아올 수 있습니다. 교회가 물질을 가지고 사람을 가리는 것은 교회로서 소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주님이 받으시는 것은 물질의 크기가 아니라 그것을 드리는 자의 온전한 마음입니다. 번제란 온전히 우리 자신을 주님께 드리는 참된 예배자의 삶의 본질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또한 이 예배에는 빈부귀천의 차이가 없음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입니다. 나는 나의 형편 때문에 주님께 온전히 헌신하지 못한다는 핑계를 대고 있지는 않습니까? 하나님은 우리가 어떤 형편에 있든지 예배를 받으실 수 있고, 마땅히 예배를 받으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를 차별하지 않으시며 동일한 은혜로 갚으시는 분이십니다. 과부의 두 렙돈을 어떤 부자의 예물보다 더 값진 예물이라고 말씀하신 주님의 말씀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나는 주님을 온전히 예배하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