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근세교회사

31조파의 형성기원 약사

31조파의 형성기원 약사 
황대우 교수
고신교단과 자매인 화란의 31조파의 형성기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31조파는 1944년에 클라스 스힐더가 개혁교회로부터 축출될 때, 그를 지지하는 일단의 목사들과 교인들에 의해 형성되었으나, 그 뿌리는 1834년에 발생한 헨드릭 더 꼭 (Hendrik de Cock) 목사의 국가교회로부터의 축출 사건 (이 사건은 흔히 '분열(Afscheiding)'이라고 명명된다)에서 찾을 수 있다. 더 꼭이 제명되자 그의 가장 절친한 친구인 스홀떠 (Hendrik Peter Scholte) 목사는 자신을 따르던 일부 무리를 이끌고 스스로 국가교회를 나와 더 꼭과 동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채 5년이 되기도 전인 1838년에 스홀떠를 따르던 무리는 도르트 신조를 거부함으로써 더 꼭을 떠나 자신의 길을 가게 되었다. 그들은 '고난받는 개혁교회 (Gereformeerde kerk onder het kruis)'라 불리운다. 반면에 그들이 떠나자 더 꼭을 따르던 무리들은 '기독교 분열교회 (Eene christelijke afgescheiden gemeente)'라는 임시명칭을 사용했다. 그러나 1869년에 이 두 교단은 '기독교 개혁교회 (Christelijk gereformeerde kerk)'라는 이름으로 연합하게 된다. '고난받는 개혁교회'에 속한 교인들 가운데 이 연합에 동의하지 않는 무리들은 잔류했다. 
기독교개혁교회는 다시 1892년에, 아브라함 까위뻐가 국가교회로부터 제명되었을 때(1886년) 따라 나온 무리들인 돌레앙찌 (doleantie) 교회와 연합하게 되는데, 이것이 스힐더를 제명한 개혁교회 (Gereformeerde Kerken)이다. 이 때도 역시 이 연합에 동의하지 않고 잔류한 무리들이 있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소위 Afscheiding에 뿌리를 둔 '개혁교회교단'은 스스로 분리를 선언한 무리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1834년의 헨드릭 드 꼭과 1886년의 까위뻐, 그리고 1944년의 스힐더 모두 교회 내에서 개혁을 외치다가 제명되었다. 교회로부터 축출된 그들은 더 이상 교회 내에서 자신들의 개혁의지 (분리의지가 아니다!)를 고수할 수 없었기 때문에, 또 다른 새로운 교회로 설 수 밖에 없었다. 
화란 개혁교회 역사 가운데 교회개혁을 이유로 스스로 분리를 선언한 예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1969년에 31조파에서 갈려나간 '네덜란드개혁교회 (Nederlandse Gereformeerde Kerken)'라는 교단이 지향했던 것이다. 이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도르트 교회법 31조항에 문자적으로 충실해야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스스로 분리해 나갔다. 그래서 그들은 완전히 다른 성격의 노회와 총회를 가진다. 즉 네덜란드개혁교회의 노회와 총회는 단순한 토론의 장 이상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권위도 없다. 이 점에 있어서 네덜란드개혁교회는 역사적 개혁교회정치체제를 떠난 것이다. 
*이 세 사람 각각의 제명 원인에 대해서는 차후에 기회가 되는대로 상세하게 다루고자 한다.

'교회사 > 근세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교회 약사  (0) 2018.02.10
미국 장로교회 분열사  (0) 2018.02.09
존 웨슬리 (Rev.John Wesley, 1703~1791)  (0) 2018.02.09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  (0) 2018.02.07
스펄전과 내리막길 논쟁  (0) 20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