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목회강의

외적 부르심에 관련된 효과적 부르심과 중생 외적 부르심에 관련된 효과적 부르심과 중생1. 외적 부르심과 불가분의 관계 (1) 하나님의 부르심은 하나이다 (718-5-1).(i)외적 부르심(external calling)과 내적(internal) 혹은 효과적 부르심 (effectual calling)의 구분은, 이러한 하나의 부르심이 두 가지 측면을 가진다는 것이다 (718-5-1~2).(ii)하지만 이 두 가지 측면이 항상 연합되고 항상 동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718-5-3~4).①우리는 루터파와 함께 “내적 부르심이 항상 말씀의 들음과 동시에 일어난다”라고 주장할 수 없다 (718-5-4~5).②상기 진술의 의미인즉, 내적 부르심이 성인에게 임하려면 이것이 말씀의 전파(preaching)에 의해 매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718.. 더보기
“중생”개념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 조직 신학에서 말하는 “중생”개념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i)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단어들 - “영생” “거듭남” “믿음” 등 --은 구원의 전반적 과정이나 양상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로 간주되어야 한다. (ii) 이것은 심지어 성경에서의 용어 사용조차도 그러하다. ①성경은 교의학에서 채택된 용어들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으며, 종종 다른 명칭들이나 다른 수사적 표현들(figures of speech)을 활용하고 있다 (666-2-9~10). ②게다가 성경은 이제는 교의학에서 매우 제한적(definite)인 전문 의미를 획득한 용어들을 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661-2-10~11). ③성경에서 “중생”(regeneration), “부르심/소명(召命)”(calling), “회심”(conv.. 더보기
중생에 있어서 지성과 의지의 문제 옛 개혁파 신학자들은 중생에서 성령이 초자연적으로 매우 강력하게 인간의 마음 즉 지성을 조명하기 때문에, 의지는 실천적 판단의 유력한 명령을 따르지 않을 수가 없다고 가르쳤다 (723-5-2~5)고 합니다. 더 나아가 성령은 지성에만 직접적으로 역사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의지에 역사한 다 (723-5-5~6)라고 까지 합니다. 이들에 따르면 인간 의지에 직접적인 성령의 사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723-5-6~7)고 할 수 있습니다. 간접적이라는 말은 말씀이 도구가 되어서 라는 의미이겠지요? 이건 애씀을 행간 속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이 구체적으로 누구인지는 좀 더 알아보고 다른 책들을 통해서 찾아보고 연구해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이에 비해, 현대 개혁파 신학자들은 중생에서 성령은.. 더보기
역사적 개혁파가 남긴 소명과 중생의 재구성 역사적 개혁파가 남긴 소명과 중생의 재구성 노승수 목사 글을 시작하기 전에 질문부터 하나, 구원의 서정은 좁은 의미의 중생 개념이 생기기 전부터 있었을까요? 아님 후에 있었을까요? 전 부터 있었다고 하면, 구원의 서정에서 중생 개념은 넓은 의미가 될 것이고 후에 생겼다고 하면 중생개념은 좁은 의미가 되겠지요? 개혁파 신학은 역사적 신앙의 중요성을 늘 강조해왔습니다. 칼빈 스스로도 초대교회의 교리적 정통으로 되돌아 온 것이 종교개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전에 생긴 것이라고 하더라도 후에 정립된 중생 개념이 포함되었겠죠. 저는 개인적으로 전자 즉, 구원의 서정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 구원의 서정은 '소명'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그 것이 외적 부르심이 되었던 효과적인 내적 부르심이 되었든지 간에 부르.. 더보기
회심의 성격 회심의 성격 노승수 목사 ※ 먼저 일러두기 : 괄호 안의 숫자 예) (716-2-1~2)는 벌콥의 책 716페이지 2번째 문단, 1~2줄에 나오는 내용이라는 뜻 벌콥은 회심이 법적 행동보다는 하나님이 하시는 재창조적 행동(734-2-1)이라고 말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신분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상태를 바꾸는 것 (734-2-2~3)입니다. 근데 이 부분을 설명하면서, 특이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회심이 이미 신앙을 전제(734-2-4)하고 있다고 말한다는 점이죠. 우리는 흔히 회심하면 '회개와 믿음' 이렇게 단순히만 생각하지만 왠지 벌콥의 설명은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는 거 같습니다. 이 전제된 신앙에 대해서 하나님의 구속적 계시의 진리를 편견 없는 역사적인 의미로서뿐만 아니라 인생에 근본적 방식.. 더보기
역사적 개혁신학의 중생에 관한 이해 역사적 개혁신학의 중생에 관한 이해 (부제, 노승수 목사가 연중론도 순중론도 다 지지하는 이유) 노승수 목사 ※ 먼저 일러두기 : 괄호 안의 숫자 예) (716-2-1~2)는 벌콥의 책 716페이지 2번째 문단, 1~2줄에 나오는 내용이라는 뜻 중생에 관한 여러 논란에 저 스스로 공부와 정리의 필요성을 느껴서 벌콥을 기본 기조로 해서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 의미는 "죄인이 새로운 영적인 생명을 부여 받고 새 생명의 원리가 처음으로 행동화되도록 하는 신적 행위"로(716-2-1~3) 포괄적으로 정의됩니다. 그러나 오늘날 개혁파 신학은 중생을 보다 제한적 의미로 사용 (716-2-1) 했습니다. 이와같은 정의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첫째, “재발생”(begetting again)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