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교회론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김영한교수)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차이점 (김영한교수) 들어가는 말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시작된 이후 스위스 제네바는 프랑스 사람 존 칼빈에 의해 참된 교회 건설의 전초기지가 되었다. 유럽의 수많은 개혁 지도자들은 이 곳 제네바 교회와 그 교회의 지도자 칼빈으로부터 개혁 신앙과 생활을 배우고 몸에 익힌 후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 그들의 교회를 개혁했다. 바로 이 곳은 개혁교회와 장로교회의 산실이다. 이 두 교회는 각각 대륙과 스코틀랜드(혹은 영국)에서 개혁교회와 장로교회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두 교회의 뿌리는 하나다. 그러나 수많은 세월이 지나면서 두 교회는 각각 다른 전통을 생산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리와 생활 모두에서 그 사이는 크게 벌어져 갔다. 특별히, 두 교회 모두 각 나라에서 단일한 교회로.. 더보기
한스 큉의 성령과 교회 이해 한스 큉의 성령과 교회 이해 성령이란 무엇인가? (한스 큉) 고대 성서 시대의 사람들은 영(靈;Geist)과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역사를 어떻게 생각했는가? 붙잡힐 듯 하나 붙잡히지 않고, 볼 수 없으나 강력하며, 사람들이 숨쉬는 공기와 같이 삶에 필수적이며, 바람과 폭풍처럼 힘찬 것이 성령이다. 모든 언어들에는 영을 나타내는 언어가 있다. 그러나 다양한 성(性)을 가진 이 언어는 영이 단순히 표현되기에는 어려운 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라틴어의 영(Spiritus)은 (독일말에서 처럼)남성이다. 히브리어 루아하(Ruach)는 여성이고 헬라어의 프뉴마(Pneuma)는 중성이다. 영은 여하튼 남성적인 인격과 전적으로 다른 어떤 것이다. 여성 명사 루아하는 창세기 첫 장에 따르면 수면 위에 운행하는 저.. 더보기
루이스 벌콥(L. Berkhof)의 교회론 루이스 벌콥(L. Berkhof)의 교회론 신원균 목사 Ⅰ. 서 론 교회는 그리스도와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의 복에 참여하는 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공로를 적용하는 구원론은 자연스럽게 교회론으로 이어진다. 그리스도께서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자신에게 연합시키고 그들에게 참된 믿음을 주어서 그 교회를 성도의 모임 즉, 하나님께서 영원전에 예수 그리스도안에서 선택한자들의 공동체를 구성한다는 것이 개혁주의의 개념이다. 따라서 교회론을 예정론에 입각하여 그 구조를 세워야 은혜언약 안에 있는 선택의 개념이 교회론의 중심에 서게 될 것이다. 이제 벌콥의 교회론을 통해서 바른 개혁주의의 개념의 교회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벌콥은 교회론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1부에 교회에 관한 교리로 교회의 성질.. 더보기
성령님과 교회 공동체_목회와 신학, 2000,11월호 성령님과 교회 공동체_목회와 신학, 2000,11월호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교수) 한국교회는 교회사에서 전무후무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한국이 동양의 4대 용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을 때, 한국교회도 이런 성장으로 인하여 세계교회의 이목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 세계를 순방하면서 개척교회가 서울에서만 하루에 하나 또는 두 개씩 세워진다고 간증을 할 때 세계교회는 열광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이런 성장을 내어놓을 수 없게 되었다. 불과 30여년간의 일이다. 하나님이 원하신다면, 언제라도 이 땅에서 부흥이 일어날 것을 믿어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의 관심을 성장에서부터 내실을 다지는 쪽으로 돌려야 할 때가 되었다. 비록 성장이 멈추었다 하더라도, 그간 한국교회가 축적한 저력은 대.. 더보기
삼위 하나님의 교제와 교회의 공동체성 삼위 하나님의 교제와 교회의 공동체성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우리의 성경해석은 상당히 시대의 풍조를 따라서 이루어진다. 심지어 ‘오직 성경’의 구호를 내세우는 교회와 성도라도 어느 정도는 이 제약성을 벗어날 수 없다. 가령 얼마 전까지만 하여도 제 5계명을 설교하는 것은 쉬웠으나 이제는 그리 용이하지 않다. 자주 들었던 돈을 사랑하지 말라는 설교는 이제 쉽게 듣기 힘든 주제가 되고 말았다. 유교적 사회 통제가 작동하고 있던 시절에 성경의 계명은 쉽게 위계 질서에 기초하여 해석되었고, 경제적으로 힘들 때 맘몬의 위험을 지적하고 천국 시민이 감당해야 하는 고행의 삶을 설파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정작 이런 설교는 지금 더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하겠다. 한편으로는 옛 위계질서가 파괴되고 이제는 자녀들의 .. 더보기
영적 임재설 영적 임재설 이성호 교수 예수님께서 잡히시기 전날 밤, 떡을 떼며 "이것은 내 몸이라"고 말씀하셨다. 도대체 이 말씀이 무슨 뜻일까? 이 짧은 구절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카톨릭과 개신교의 분열을 가져왔다. 또한 루터파와 칼빈파가 다른 중요한 교리에는 다 합의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구절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함으로 하나의 개신교를 형성하는데 실패하였다. 성찬을 보통 크게 4가지 방식으로 설명한다: 카톨릭의 화체설, 루터교의 공재설, 쯔빙글리의 기념설, 개혁교회의 영적 임재설. 안타깝게도 오늘날 대부분의 한국 장로교회는 영적 임재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으로, 말은 영적 임재설을 따른다고 하면서도 실천에 있어서는 거의 기념설로 이해한다. 그 결과 성찬에 대해서 너무나 피상적인 이해가 교회 안에 보편화.. 더보기
교회 교회(敎會) [1] 보편적 교회 또는 우주적 교회는 무형적이다. 이 교회는 머리 되시는 그리스도를 중심을 하여 그 아래 하나로 지금까지 모여들었고 지금 모여들고 있고 장차 모여들게 되는 택함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다. 이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부요 몸이며,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케 하시는 그의 충만이다.엡1:10,22,23 5:23,27 골1:18[2] 유형교회 또한 복음 시대에는 보편적이요 일반적인 교회이다(이전 율법시대처럼 한 민족에게만 제한되어 있지 않다) 이 유형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참 교회를 신봉하는 모든 사람들과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교회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왕국이며 하나님의 집이며 권속이다. 이 교회를 떠나서는 즉 교회 밖에서는 통상적으로 결코 구원 받을 수가 없다.. 더보기
장로교회의 정체성 장로교회의 정체성 정준모 목사 1. 예배원리 장로교회의 정체성은 교리, 정치, 예배 등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중세 교회의 타락의 주요인은 교리와 예배의 오염과 탈선이었다. 종교개혁의 두 축은 교리개혁과 예배개혁이다. 종교개혁의 초점은 바로 오염된 비성경적인 교리의 개혁과 탈선된 반성경적인 예배의 개혁이다. 장로교회는 장로교회로서 예배신학, 원리, 의식이 있다. 장로교회에서 인위적 목적 성취를 위하여 장로교 예배모범을 떠난 예배는 장로교의 정체성이 상실되는 큰 오류를 범한다. 본 글을 통하여 장로교회의 예배원리와 예배의식, 장로교회의 예배모범 변천 역사, 한국장로교회의 예배 정착 변천 과정과 예배 모범 채택, 그리고 한국장로교 예배 갱신과 개혁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장로교회의 예배원리와 예배의.. 더보기
칼빈이 말하는 진정한 기도란 무엇인가 칼빈이 말하는 진정한 기도란 무엇인가 이승구 교수 '기독교 고전 읽기' - 칼빈기도편"늘 기도하며 힘을 잃지 않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모든 기도가 원하는 대로 응답 받는 것보다 하나님과 대화하는 데 훨씬 더 많은 가치를 둘 것이다. 기도의 궁극적인 목표가 그것이다." -조지 맥도널드예수님은 우리에게 기도의 형태와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우리가 '기도는 영적인 호흡이자 하나님과 인격적으로 만나는 소중한 자신만의 좌석'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기도 자체에 혼란과 좌절을 맛본다. 예수가 가르친 기도와 우리가 알고 있는 기도가 마치 다른 나라 얘기 같다. 예수 믿고 기도하고 하나님을 알아가면서, 믿기 전과 믿은 후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 이승구 교수는 강의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더보기
언약의 이해 언약의 이해이승구 교수성경과 관련하여 언약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혁 신학에서의 언약 개념을 현대에 잘 발전시키고 있는 John Murray, Meredith G. Kline, 그리고 O. Palmer Robertson의 언약 이해를 간단히 살피고 평가하는 일이 필요하다.이 세 사람 중 John Murray가 가장 먼저 언약 개념을 제시했으므로 그의 언약 개념을 검토한 후에 나머지 둘이 어떻게 John Murray의 언약 이해를 극복하며 발전 시켰는지를 살피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John Murray에 의하면 "신적 언약은 은혜와 약속의 주권적 수행이다"(a divine covenant is a sovereign administration of grace and of promise). 그는 하나님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