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

중간지식에 관하여... 중간지식에 관하여...헤르만 바빙크중간지식설은 우연적 미래를 하나님에게도 우연적이고 자유로운 것으로서 제시한다. 이것은 오리게네스가 사건들은 하나님이 사건들을 알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건들이 일어나기 때문에 하나님이 예지하는 것이라 말하는 것처럼 단지 하나님의 예정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의 예지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순서는 -필연적 지식, 직관적 지식, 그리고 창조의 작정-이 아니라 -필연적 지식, 중간 지식, 창조의 작정, 그리고 직관적 지식-이 된다. 하나님은 인간 존재의 자유로은 행위에 관한 그의 지식을 자신의 존재, 자신의 작정에서 도출하시지 아니하시고, 피조물의 의지에서 도출하시게 된다. 하나님은 따라서 세계에 의존하게 된다. 그 자신이 가지고 있지도 않으며 그 스스로에게서 .. 더보기
정통개혁신학의 성립과 한국의 바른 개혁신학의 회복을 위한 긴급한 신학적 내용들 정통개혁신학의 성립과 한국의 바른 개혁신학의 회복을 위한 긴급한 신학적 내용들 김영규 교수 약력 총신대학교 합동신학원(M. Div.) 독일 괴팅엔대학(Th. D. 조직신학) 독일 괴팅엔대학에서 파피루스, 고대근동학, 신약학 연구 現 남포교회 협동목사, 뉴욕 학술원, 개혁주의 성경연구소장, 안양대신대원 교수 저서 헤르만 바빙크의 하나님의 큰일(Magualia Dei) 번역출판,1996. 헤르만 바빙크의 개혁주의교의학I 번역출판,1996. 17세기 개혁주의 신학, 1996. 조직신학 편람 I, Ⅲ, IV, 1998. 기독교 강요 강독 1, 2000. 과학과 인간의 미래, 2001. “엄밀한 개혁주의와 그 신학” 도서출판하나, 1998 외 다수 정통개혁신학의 성립과 한국의 바른 개혁신학의 회복을 위한 긴급한 .. 더보기
레이몬드의 위격 개념과 상호내재 재념 위격 개념 "person은 어원론적으로 봤을때 라틴어 페르소나에서 유래했는데 그것은 “을 통하여”라는 페르와 “말하다“는 소나가 합쳐진 말로서 로마의 배우가 연극할 때 쓰고서 말하는 가면과 그 배우가 묘사하는 구체적인 인물을 뜻한다. 그 단어 자체가 니케아 신조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 단어를 사용한데에는 오랜 역사가 있다. 그 단어를 사용한 것은 터툴리안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단어는 한 하나님안에 계시는 세분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리고 각각 하나님으로서 존재하시는 세분을 하나의 신적본질과 구분하기 위해서 마침내 교회를 통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오늘날 정통주의 신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삼위일체 문맥에서 위격을 하나의 의식하는 자아 다시 말해서 자기 의식의 중심으로 이해한다.... 하나님 안에 .. 더보기
기독론1 기독론1 I. 과목 설명 본 과목은 조직신학 기독론을 다룬다. II. 강의 목표 기독론의 기본내용을 숙지하게 하며 그리스도의 위격과 그리스도의 사역 교리들의 목회적이고 실제적인 의미들을 생각하게 한다. III. 강의 계획표 1. 기독론의 역사 (벌코프 533-540, 맥클라우드 145-205) 2. 그리스도의 명칭과 성질 (벌코프 541-549, 거스리 15-205, 맥클라우드 91-144, 305-318) 3. 그리스도의 일위성 (벌코프 550-561, 맥클라우드 281-304) 4. 비하의 신분 (벌코프 565-577, 맥클라우드 19-52, 209-246) 5. 승귀의 신분 (벌코프 578-589) 6. 그리스도의 삼중직: 선지자직 (벌코프 593-598, 리탐 89-103) 7. 그리스도의 삼중직.. 더보기
역사적 정통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역사적 정통개혁신학의 바른 노선의 요점 김영규 목사(개혁주의성경연구소) 한국 보수주의 교회에서는 정통개혁주의신학에 대해서 강조해 왔으나, 실제로 정통신학의 계보에 대해서 잘 소개되지 않았다. 최근 퓨리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소개되었어도 회중교회적인 퓨리탄들이 대부분이 소개되었고 진정 장로교 개혁주의신학자들은 많이 소개되지 않고 미미한 정도에 불과했고 더구나 칼빈 이후의 유럽개혁주의자들의 소개들은 극히 적었다. 이런 면에서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주장하면서 진정 정통개혁주의신학을 잘못 본 셈이 된 것이다. 하물며 전체적인 개혁주의신학의 전통에서 어느 것이 바른 노선인지에 대해서 전혀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 사실 웨스트민스터 신학자들 중 조지 길레스피가 품고 있는 ‘가장 좋은 개혁주의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 더보기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김 명룡(장신대 교수) 서 언 기독교 교리 가운데 삼위일체론은 일반적으로 이해가 거의 불가능한 극난한 교리로 알려져 있다. 한국교회의 성도들 가운데 삼위일체론을 바르게 아는 사람들은 매우 적고, 많은 이들은 삼위일체론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다가 도저히 이해되지 않아서 포기하기도 한다. 삼위일체론은 정말로 이해가 안되는 그런 극난한 교리일까? 삼위일체론이 이해가 안되기 때문에 한국교회 안에는 이단적으로 보이는 잘못된 삼위일체론이 활개를 치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삼위일체론은 성서에 근거가 없고, 교회가 발전시킨 사변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셋이 하나가 되고 하나가 셋이 되는 그런 신관이 성서 안에 어디 있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먼저 밝혀야 하는 .. 더보기
칼빈의 하나님/인간의 관계이해 칼빈의 하나님/인간의 관계이해 변증법적인가 아니면 삼위일체론적인가 ?칼빈의 관심은 신약성경의 본래적인 경륜적-삼위일체론적 관심과 니케아 신학자들의 동기를 재발견, 요약한 것이었다[1]. 스콜라신학은 삼위일체론을 먼저 주어진 성경적 진술, 교부들의 주장, 철학적 명제들을 기정 논리에 의거하여 공리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연역적인 방식으로 전개하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와 대조적으로 칼빈은 귀납법적인 방식, 곧 신약성경 주석의 자료들과 거기에서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해 계시된 사실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의 세 위격들의 단일성에 대한 논의를 위해 필요한 성경적, 성경외적인 일반화로까지 나아갔다. 삼위일체론을 체계적으로 전개함에 있어서 칼빈은 단일한 신적 본질(ousia)과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hypos.. 더보기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론 목 차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II. 그의 계시안에 계신 하나님 (God in his Revelation) 1. 교의학 안에서의 삼위일체론의 자리 (The Plac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Dogmatics) 2. 삼위일체론의 근원 (The Root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3. 삼위일체론의 흔적들 (Vestigium Trinitatis) III. 하나님의 삼위일체 (God's Three-in-Oneness) 1. 삼중성 속의 단일성 (Oneness in Threeness) 2. 단일성 속의 삼중성 (Threeness in Oneness) 3. 삼위일체 (Three-in-Onenes.. 더보기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 [정리]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론 [정리] 이성호 [20세기의 신학을 바르트가 열었다면, 21세기의 신학은 판넨베르크가 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종합시험 준비하다가 간단히 정리한 것을 올립니다. 판넨베르크의 삼위일체를 이해하는데 조금의 도움의 되었으면 합니다] 판넨베르크게 있어서 삼위일체론은 매우 중요한 신학적으로 중요한 교리인데 왜냐하면 하나님의 인격(personal: 한국말로는 신격이라는 말이 좀 더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성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하나님의 본성이 사랑이시고 인격을 가진 분이라면 필연적으로 관계적인 존재일 수밖에 없다. 사랑과 인격이라는 것은 사랑의 대상을 반드시 필요로 한단느 것을 의미하는데, 만약 사랑이신 하나님께서 삼위일체로 존재하지 않으신다면 하나님은 필연적으로 사랑의 대상,.. 더보기
나는 개혁주의인가? 복음주의인가? 나는 개혁주의인가? 복음주의인가? 고경태 박사 1. 나는 개혁주의인가? 복음주의인가? 많은 개혁파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개혁 신학인지? 복음주의인지 혼란을 갖는다. 그것은 ‘복음주의’라는 단어가 주는 유익함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개혁주의와 복음주의는 분명한 구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칼빈주의’는 어떠한 말인가? 우리는 ‘개혁주의’는 곧 ‘칼빈주의’로 생각한다.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칼빈주의’라는 단어는 누가 만들었는가? 그것은 루터파 진영에서 자기들과 구별하여 ‘칼빈주의’라고 규정하였다. 당시에는 칼빈이 훨씬 소수였고 미비했기 때문에 칼빈은 자신의 이름이 특정하게 불리는 것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 않았다.1) ‘칼빈주의’라는 용어를 학문적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