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

하나님은 사람에게 왜 자유의지를 주셨는가 ? 하나님은 사람에게 왜 자유의지를 주셨는가 ? 박일민 교수 하나님께서는 사람에게 죄를 범하지 말라고 엄히 명령하신다. 그리고 사람이 죄를 범할 때는 그냥 지나치지 않으시고 반드시 그 책임을 물으신다. 하나님은 전지하고 전능하신 분이시다. 그러므로 하나님은 사람을 만드실 때부터 사람이 죄를 범하게 되리라는 것도 아셨을 것이다. 그렇다면 죄의 원인은 사람이 아니라, 죄를 범할 수 없도록 사람을 만들지 않으신 하나님에게 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그러나 죄의 원인은 하나님이 아니라, 사람의 자유의지에서 찾아야 한다. 이제 그 자유의지는 무엇이며, 자유의지는 어떻게 해서 죄의 원인이 되게 되었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1. 자유의지의 개념 자유의지를 단순히 용어를 풀어 말한다면, 자유롭게 활동하는 의지를 의미한다고 .. 더보기
2. 바른 삼위일체를 알게 하는 데 혼동을 일으키는 것들은 무엇인가? 2. 바른 삼위일체를 알게 하는 데 혼동을 일으키는 것들은 무엇인가? 첫째, 삼위일체는 신비로운 교리인가 아닌가? 삼위일체 교리는 신비로운 교리이다. 우리가 어떤 교리를 신비롭다고 할 때 그 진리의 깊이 때문에 하는 말이다. 그런 점에서 삼위일체 교리가 신비롭다는 말은 맞다. 특히 '삼(3)위 일(1)체' 중에서 구분성을 나타내는 '3'에서보다 단일성을 나타내는 '1'에서 신비로운 교리가 삼위일체이다. 그래서 루이스 벌콥도 "이 삼위가 그 본질적 존재에 있어서 하나라고 하는 여기에 삼위일체의 참된 신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신복윤 역, 루이스 벌콥, 기독교신학개론, 성광문화사, 1985, 71쪽).그러나 본인은 삼위일체 교리보다 예수님의 양성 교리가 더 신비롭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어떻게 한 인격(위.. 더보기
판넨베르크의 계시론 판넨베르크의 계시론 정용섭 하나님의은 기독교 2천년 역사를 통해, 특히 종교개혁 이후로 교회와 세상을 판단하고 규정하는 가장 확고한 준거였다. 그 강조점과 적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신학적 경향, 예컨대 근본주의신학이나 개혁주의신학은 물론이고 해방신학이나 정치신학 등 보수적 신학으로 부터 진보적 신학에 이르기 까지 거의 모든 신학은 이러한 흐름 속에 놓여 있다. 특히 개신교 신학은 카톨릭 교회의 교회권위 중심적 사고로 부터 말씀 중심적 사고로 신학적 축을 옳긴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적 전통 가운데서 유별날 정도로 말씀을 모든 신학과 신앙의 초석으로 삼아왔다. 말하자면 기독교 교리가 진리인 것은 말씀이 그것을 증거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해 왔다. 이러한 말씀 실증주의적 전통은 칼 바르트에게서 완벽한 체계를 .. 더보기
존 오웬, 내 안의 죄죽이기, 브니엘, 2007 존 오웬, 내 안의 죄죽이기, 브니엘, 2007 존 오웬 존 오웬은 1616년 영국 옥스퍼드주 스타드햄에서 그곳 교구목사인 헨리 오웬의 아들로 태어났다. 청교도 시대의 신학과 신앙을 연구하는 많은 이들이 존 오웬을 가리켜 ‘최후의 청교도 신학자’로, 그리고 종교개혁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가장 심오한 신학 저서를 방대하게 내놓은 저술가로 평가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그는 신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신실한 목회자요, 은사받은 대 설교자요, 옥스퍼드 그리스도교회의 감독이요, 옥스퍼드대학교의 부총장이요, 크롬웰 경의 국목이요, 한 세대에 걸쳐 가장 많은 신학적 저작을 낸 저자요, 어디서나 그리스도의 향기를 풍긴 인격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그는 15세에 옥스퍼드 퀸스대학의 입학 허가를 받았고, 대학을 나와 석사학.. 더보기
한국에서의 개혁신학의 과제 한국에서의 개혁신학의 과제 유해무 교수 우리는 한국에서 ‘개혁신학’의 과제를 다루려고 한다.1) 개혁신학의 과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개혁신학의 역사를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이미 유럽 신학계는 지난 세기에 ‘개혁신학이 무엇인가’라는 논의를 활발하게 전개했었다. 또 우리 한국교회는 영미 교회의 피선교국이기 때문에 선교사들의 배경인 특히 미국에서의 개혁신학 이해도 고려되어야 하리라 여긴다. 우리는 이런 역사적인 배경을 더듬어 본 뒤에 계속하여 개혁신학의 과제를 다루려고 한다. 1. 개혁신학의 원리 개혁파는 루터파들이 붙인 이름이다. 그렇지만 “1560년대까지는 ‘개혁’(Reformed)이란 명칭은 개신교 내지 복음주의를 뜻했고, 루터교를 포함했다. 1590년대 이후 비로소 루터교회와 개혁교회의 구분이 명.. 더보기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개혁주의란 무엇인가? 박윤선 박사 개혁주의(칼빈주의)의 근본 원리를 말한다면 "성경을 바로 깨달으려는 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신자들이 흔히 "성경대로, 성경대로"라고 말은 하지만 누구든지 실제로 성경을 바로 깨닫지 못했을 때에는 자기도 모르게 그 주장에 잘못된 내용이 들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혁주의가 주장하는 것은, 성경을 믿되 성경을 바로 해석한 그 내용대로 믿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결국 성경주의이다. 우리가 성경을 성경의 본 뜻대로 바로 해석하여 그대로 믿으며, 그 내용대로 실행할 때에 하나님께는 영광이 돌아가고 인류에게는 유익이 있다. 주님의 교회는 이 신앙 노선에서 건전하게 성장하게 된다. 성경은 자초지종 초자연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성경의 첫 .. 더보기
철저한 교리 교육이 참된 그리스도인을 만듭니다 철저한 교리 교육이 참된 그리스도인을 만듭니다김남준질문 : 열린교회 목회 역사를 간략히 소개해주십시오. 저는 1993년 12월에 소명을 받고 교회를 개척했죠. 지하실에 월세를 얻어서 한 3~4년 그곳에서 사역했습니다. 교인들이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늘어나서, 두 번째로 옮긴 곳이 방배동이었습니다. 3년 정도 지났을 때 200명의 성도가 약 1,000명을 넘어섰죠. 거기사 한 3년 반 있었는데 교인들이 너무 많아져서 고민 끝에 7년 9개월 전에 다시 이곳으로 옮겼습니다. 지난주 출석 성도가 2,600명입니다. 교회학교 학생 수는 1,200명 가량 됩니다. 교회를 이곳으로 옮긴 지 2년지 지나서 보니까 교육 공간이 없었습니다. 당시 교회의 규모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였는데 아이들의 미래를 위.. 더보기
삼위 일체 교리 입증(三位一體 敎理 立證) 삼위 일체 교리 입증(三位一體 敎理 立證) 김명도 “여호와의 증인” 교파에서는 삼위일체 교리를 부인한다. 왜 부인하느냐고 물으면 성경에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게 말한다면 여호와의 증인의 여호와라는 말도 원문성경에는 없다. 구약의 워문에서는 YHWH 라는 네 글자 (이것을 신학에서는 tetragram, 4 문자라고 한다) 로만 표기 되어있다. 유대인들조차 이 단어를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몰랐다. 그러다가 유대인 학자들이 "ADONAI“ 이라는 말을 사용하다가 ADONAI의 모음자를 YHWH 에 붙여서 YAHOWAI (야호와이) 가 되었다. 영어 성경에서는 Jehovah라고 번역하였는데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아무도 tetragram을 어떻게 정확히 발음하는지 모른다. 영어의 Jehovah도 tetrag.. 더보기
칼빈이 말하는 진정한 기도란 무엇인가 칼빈이 말하는 진정한 기도란 무엇인가 이승구 교수 '기독교 고전 읽기' - 칼빈기도편"늘 기도하며 힘을 잃지 않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모든 기도가 원하는 대로 응답 받는 것보다 하나님과 대화하는 데 훨씬 더 많은 가치를 둘 것이다. 기도의 궁극적인 목표가 그것이다." -조지 맥도널드예수님은 우리에게 기도의 형태와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우리가 '기도는 영적인 호흡이자 하나님과 인격적으로 만나는 소중한 자신만의 좌석'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기독교인들은 여전히 기도 자체에 혼란과 좌절을 맛본다. 예수가 가르친 기도와 우리가 알고 있는 기도가 마치 다른 나라 얘기 같다. 예수 믿고 기도하고 하나님을 알아가면서, 믿기 전과 믿은 후는 전혀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 이승구 교수는 강의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더보기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종식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종식 1. 복음의 회복 “그리스도의 죽음 안에서의 죽음의 종식”은 보편적 구속 교리가 비성경적이고 복음을 훼손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설계된 논쟁적 저술이다. 오웬의 논문은 복음의 회복에 대한 우리의 노력을 도와줄 것이다. 오늘날의 복음주의의 실패와 그 원인 오늘날의 복음주의가 혼란과 불안 상태에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문제의 근원은 우리가 성경적 복음에 대한 파악력을 상실함에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난 세기동안 복음을 대용품에 헐값으로 팔아왔다. 이 대용품은 사소한 점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명백히 다른 것이다. 이 새로운 복음은 깊은 경외심과 회개, 겸손과 예배정신 교회의 관심을 갖는 심령의 인간을 만들지 못했다. 왜 그럴까? 새 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