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Sola Fide&Sola Scriptura Sola Fide&Sola Scriptura 고경태 16세기 종교개혁의 구호는 “오직 믿음”과 “오직 성경”이다. 그것은 중세 로마 교회의 행위적 구원관에 대한 믿음의 강조와 로마 교회 수위권과 교황권에 대한 성경에 대한 강조이다. 로마 교회가 전횡하였던 왜곡된 구원의 방법과 권위(도구)에 대해서 새롭게 정립한 것이다. 중세 로마 교회는 1000년 동안 유럽의 패권을 장악하여 종교, 문화, 정치 모든 분야에 군림하였다. 교황청의 부패는 종교개혁 전의 개혁 운동이 발생할 정도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영국의 존 위클리프, 보헤미아(체코)의 얀 후스, 그리고 이태리의 지롤라모 사보나롤라등이 있다. ‘종교개혁의 샛별’이라 불리는 존 위클리프(1330~1384)는 옥스퍼드 대학교 출신으로 그리스도만이 사람들의 주.. 더보기 “칭의 교리에 대한 공동 선언문”1)에 대한 개혁교회의 평가 “칭의 교리에 대한 공동 선언문”1)에 대한 개혁교회의 평가 이형기(Ph.D.장신대명예교수) 1. 역사적 배경 고대 교회는 기독론과 삼위일체론의 문제로, 그리고 어느 정도 구원론의 문제(아우구스티누스와 펠라기우스)로, 교회의 분열을 경험하였다면, 16세기는 구원론의 문제로 서방교회 안에서 로마 가톨릭 교회와 루터교를 비롯한 개신교회가 분열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1530년 “아욱스부르크 신앙고백서”가 나온 이래 계속해서 1530대와 1540년대에 로마 가톨릭 교회와 루터교 양측은 양자 간 신학 협의회들을 통하여 화해를 모색했으나 결실을 맺지 못하고 말았다. 이 양자 간 대화의 역사에 있어서 “레겐스부르크 회담”(1541년)이 가장 성공적 이였지만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리고 1545-1563년 어간.. 더보기 존 번연의 "구원과 정죄의 원인들과 순서에 대한 지도" 더보기 교의학에 대한 바빙크의 생각 교의학에 대한 바빙크의 생각한병수 전도사 고전적인 학문의 체계와 스콜라적 논제법(locus method)이 절충된 멜랑톤의 보편논제(Loci communes) 방식의 교의학적 한계를 바빙크는 ‘학문적인 목표에는 도달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교육이 부족했던 자들과 성경의 지식 전하기를 소원하는 자들에게 이바지한 점도 있었다’는 정도로 지적했다. 일반적인 논제들을 열거하는 방식의 교의학 체계는 루터파와 개혁파 진영에 적극 수용했던 방식이긴 하나 믿음의 진리를 보다 조직적인 규모로 다룸에 있어서는 결점이 드러났기 때문에 그런 표제는 존속될 수 없었다고 진단한다. 하나의 통일된 체계를 보여주지 않고 주제의 산만한 배열처럼 보이는 단점이 있기는 하다. 쯔빙글리 같이 ‘해제(commentarius)’라는 .. 더보기 돌트신경의 신학적 배경 돌트신경의 신학적 배경펠라기우스는 구원이 전적으로 인간 자신의 행위에 달려 있다고 가르쳤으나 어거스틴은 구원이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진 것이라고 가르쳤다. 반(半)펠라기우스주의는 하나님께서 누군가를 구원하기를 원할지라도 그 사람이 구원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하나님을 받아들일 경우에만 구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펠라기우스주의의 구원관은 신인협력설을 주장하는데 인간이 하나님과 협력할지 안 할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초대교회 이후에 이러한 구원관은 1000여 년이 지난 중세시대에도 반복되어 나타났다. 하나님이 필요하지 않다는 펠라기안주의는 소시니안주의에서,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존하는 어거스틴주의는 칼빈주의에서 재정립되었고 이 두 사상을 적당히 타협한 반펠라기우스주의는 알미니안주의에서 다시 나타났다... 더보기 성자의 구속사역을 성도에게 적용시키시는 성령의 사역 성자의 구속사역을 성도에게 적용시키시는 성령의 사역 1. 우리를 그리스도와 연합시켜 주는 띠로서의 성령 우리는 이제 다음 문제를 검토하려 한다. 즉, 성부께서 그리스도 자신의 사적인 용도를 위해서가 아니라, 가난하고 곤궁한 사람들을 부유하게 하기 위하여 독생자에게 주신 그 은총들을 우리는 어떻게 받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선 우리는 그리스도가 우리 밖에 머물고 계시고 우리가 그와 분리되어 있는 한, 그가 인류의 구원을 위해 받으신 모든 고난과 행하신 모든 일들이 우리에게는 여전히 무익하고 무가치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는 자신이 아버지께로부터 받으신 것을 우리와 함께 나누시기 위하여 우리의 소유가 되시고 우리 속에 거하셔야 했다. 이런 이유로, 그는 우리의 "머리"(엡 4:15)이며 "많은 .. 더보기 칼뱅의 성경 해석의 특징 칼뱅의 성경 해석의 특징 우병훈 목사 칼뱅의 성경 해석에 대한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한스 요아킴 크라우스(Hans Joachim Kraus)로 대표되는 “중세와의 단절설”이며, 다른 하나는 앙리 스트롤(Henri Strohl)로 대표되는 “중세와의 연속설”이다. 크라우스는 칼뱅의 성경 해석은 현대 성경 해석의 윤곽을 미리 보여주는 것으로서, 중세적 잔재를 벗어버렸다고 하였다. 그는 주로 칼뱅의 『로마서 주석』 서문이나,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살펴서 그런 해석을 내놓았다. 스트롤은 그에 반하여 칼뱅의 성경 해석은 중세 성경 해석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중세로의 복귀를 보여준다고 했다. 이 두 견해 가운데 크라우스의 견해가 보다 지배적이며, 학계에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에 대.. 더보기 언약의 이해 언약의 이해이승구 교수성경과 관련하여 언약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혁 신학에서의 언약 개념을 현대에 잘 발전시키고 있는 John Murray, Meredith G. Kline, 그리고 O. Palmer Robertson의 언약 이해를 간단히 살피고 평가하는 일이 필요하다.이 세 사람 중 John Murray가 가장 먼저 언약 개념을 제시했으므로 그의 언약 개념을 검토한 후에 나머지 둘이 어떻게 John Murray의 언약 이해를 극복하며 발전 시켰는지를 살피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John Murray에 의하면 "신적 언약은 은혜와 약속의 주권적 수행이다"(a divine covenant is a sovereign administration of grace and of promise). 그는 하나님과.. 더보기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바른 이해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바른 이해김명용 교수오늘날 한국교회가 가르치는 교리 가운데 성도들을 가장 당혹케 하는 교리가 바로 삼위일체론이다. 세 분 하나님이 한 분이 되고 한 분 하나님이 세 분이 되는 이 이상한 교리는 많은 사람이 이해하려고 노력하다가 포기하기도 하고 또 세 분 하나님을 하나님의 세 가지 존재양태, 곧 양태론적 방식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의 존재는 어떤 신비일까? 삼위일체이신 하나님이란 도대체 어떠하신 하나님을 의미하는 것일까?I.삼위이신 하나님하나님의 삼위되심을 이해할 때 첫째로 중요한 것은 삼위라는 말의 뜻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삼위라는 말은 하나님이 세 분이라는 말이다. 한국 내의 많은 성도들과 교회들은 하나님의 삼위되심의 삼위를 세 분으로 생각하지 않고, 셋이긴 .. 더보기 성경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구조에서 본 J. 스파이크 만의 삼위일체론 비판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