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편 기도시의 문맥에서 본 칼빈의 기도론 시편 기도시의 문맥에서 본 칼빈의 기도론김이곤 교수서론 칼빈의 신학이 지닌 본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그의 “기도론”에 접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 중의 하나로 보인다. 왜냐하면, 인간이 “기도”를 하여야 할 그 이유에 대한 그의 주장은 전적으로 그의 신이해(신론), 그의 그리스도 이해(기독론), 그의 성령 이해(성령론), 그리고 그의 인간이해(인간론)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비로소 가장 잘 파악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인간기도의 대상은 오직 “하나님”만이며, 기도를 통하여 하나님께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는 분은 오직 그리스도와 성령이고, 그리고 인간은 본질상 하나님께 기도하지 않고는 “살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없는 “유전적 부패성(불결성)”1)을 가진 존재 즉 근본적으로 “결핍된 존재.. 더보기 생명은 하나님께서 주심 생명은 하나님께서 주심 여기서 우리가 다시 생각해야 할 문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생명을 주신다는 것입니다.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을 내가 찾아서 비로소 생명을 구한다는 사상이 아니라 생명은 하나님께서 주셨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우리는 중생이라는 사실이 하나님께로부터 그 대권 하에서 오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특별히 하나님께서 그 거룩한 생명을 우리 안에 심어 주셨다는 사실은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내지 못하고 사람은 아무도 거기에 관계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그걸 받는 사람 자신도 그때 반드시 아는 것이 아니다 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다만 그것이 우리 안에서 새로운 생명이라고 주장하고 나올 때에 우리는 비로소 거기에 대한 의식을 가지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이 자기가 아무 날에 중생했다고 말하는 것은 생명이 그.. 더보기 칼빈의 교회론과 한국교회 칼빈의 교회론과 한국교회 이정석 교수 한국 신학이 지나치게 서구 의존적이라는 지적을 자주 받는데, 이는 근거 없는 말이 아니다. 한국에 수많은 신학교와 신학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학은 여전히 외국학자나 외국학파의 영향 하에 있으며 창조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칼빈 출생 500주년을 맞아 한국교회의 추모 열기는 세계에서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칼빈의 제자 존 녹스가 창설한 장로교회중에서도 한국장로교회는 칼빈을 가장 존경하고 아버지처럼 의존하는듯하다. 한국교회가 어려운 난관에 봉착하면 칼빈에게서 도움과 지도를 받으려고 한다. 이 점에서도 한국교회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볼 수 없는 의존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위기나 문제를 만났을 때 칼빈의 교회관으로부터 그 해답을.. 더보기 칼빈과 한국장로교회의 교파별 종말론에 관한 비교연구 칼빈과 한국장로교회의 교파별 종말론에 관한 비교연구 조봉근 교수 A Comparative Study on Eschatology of John Calvin and Sects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centered Resurrection and Millennium- Dr Rev Bong Geun Cho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Kwang Shin University) 들어가는 말 칼빈 탄생 50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장로교회가 교파별로 수용하고 있는 종말론을 상호 비교하여 누가 더 성경적인 해석을 하고 있는가를 파헤치고, 또 아울러서 칼빈을 비롯한 개혁신학자들과 교부신학자들의 이론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른바 무천년설, 후천년설, 전.. 더보기 칼뱅의 중생론 칼뱅의 중생론 칼뱅이 기독교 강요에서 말하고 있는 중생과 조직신학에서 가르치는 좁은 의미에서의 중생은 서로 차이가 있다. 좁은 의미의 중생이란 조직신학의 용어로써 이것은 단독적으로 성령 하나님의 역사를 가리킨다. 그러나 칼뱅은 인간 편에서의 응답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중생 개념을 사용한다. 칼뱅은 회개를 말하되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의 참여, 즉 자기 부정을 통하여 옛 사람이 끊임없이 날마다 죽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부활의 참여를 통해서 새 정신, 새 의도, 새 마음으로 하나님의 의를 좇는 새로운 삶을 영위하는 것이 회개라고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회개를 중생이라고 하며, 이 중생의 유일한 목적은 우리 안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회복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알미니안 주의에 대항한 칼뱅주의 5개 조항 전적 .. 더보기 The “Extra Calvinisticum” and Calvin’s Eucharistic Theology The “Extra Calvinisticum” and Calvin’s Eucharistic TheologyDavid G. PetersIntroductionThe sixteenth century Swiss reformer John Calvin (1509-1564) was an amazing systematic theologian and exegete. His preaching, teaching, disputations, religious and political counseling, and especially his writings have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religious and political thought of much of Western civilization... 더보기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정체성(2) 개혁주의교회와 신학정체성(2)문병호 교수 칼빈신학의 중심 주제를 일의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듯이 칼빈신학을 바라보는 관점도 획일화할 수 없다. 필자는 칼빈신학의 부요함, 역동성, 보편성, 그리고 윤리성을 그가 제 신학적 견해들을 삼위일체론적 - 기독론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전개하였음에 기인한다고 여긴다. 칼빈의 신학에는 삼위내적 진리와 삼위와 우리간의 외적 진리가 함께 논구된다. 삼위내적 진리는 삼위 하나님의 진리로서 그리스도시며, 삼위와 우리간의 외적진리는 삼위 하나님의 우리를 향한 진리로서 그리스도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는 스스로(in se)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의 말씀으로써 우리를 구원하신다. 그분께서 우리 구원의 전체 과정을 주장하신다. 그분께서 우리를 주장하심이 곧 하나님의 주권이다. 오직 하나님만.. 더보기 개혁주의교회와 신학정체성(1) 개혁주의 교회와 신학정체성(1)문병호 교수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무분별하고 비성경적인 은사주의와 문화주의가아무런 검증 없이 교회에 흘러들어 하나님의 거룩한 교회를 세속화시키며복음의 본질을 왜곡하여 개혁주의 신앙이 도전받고 있는 이 시점에개혁신앙의 본질을 점검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됩니다.본 특집은 2009년 5월 11일부터 13일까지 새에덴교회에서 개최된제46회 전국목사장로기도회에서 문병호교수(총신대)가 강의한 내용입니다. (편집자)1. 칼빈, 개혁주의, 한국 개혁주의 제네바의 종교개혁자 존 칼빈(Joannes Calvinus, Jean Calvin, 1509-1564)은 '오직 성경에 따라서'(sola Scriptura) 개혁신학을 선구적으로 수행한 성경의 교사(doctor)요 해석자(int.. 더보기 <성경의 오류에 직면할 때 이것만은 잊지 마라> 칼빈의 성경관 권기범 Ⅰ. 서론 우리가 성경을 읽고 묵상할 때 하나님의 법과 구원 그리고 교훈들을 통해 많은 감동을 받기도하고 눈물을 흘리며 회개하게 된다. 그리고 살아있는 하나님의 입으로 들려오는 그 말씀들은 우리의 삶뿐 아니라, 인간세상을 변화시키고 남을 만한 큰 비밀들과 놀라운 지식들이 담겨 있어 그 또한 우리에게 감동을 준다. 그러나 그러한 차원을 넘어 성경을 좀 더 자세히, 비교 분석적으로 접근하다 보면 많은 의문들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 중에 문자적인 부분들을 다룰 때 ‘오류’라고 여겨질 수 있는 것들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스데반의 설교에서 나오는 내용들과 창세기와의 다른점들, 그리고 히브리서에 나오는 ‘첫 장막’이라는 단어에 대한 오류, 또 같은 사건을 다루는 복음서들간의 차이점들등이.. 더보기 칼빈의 성화론 칼빈의 성화론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Theology of John Calvin) 노영상 교수(장신대) 1. 칼빈 신학에서의 성화론의 위치 1) 성화의 정의 ‘성화’(sanctification)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거룩하게 만들거나 거룩하게 되는 것’, 또는 ‘신의 은혜에 의하여 칭의를 입은 사람이 성령을 받아 거룩한 인격을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성화는 우리의 행동과 인격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과정이다. 루이스 뻘콥은 성화를 정의하면서, “의롭다 함을 얻은 죄인을 죄의 오염으로부터 구원하며, 그의 전 본성을 하나님의 형상 안에서 갱신하고, 그로 하여금 선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성령의 은혜롭고 계속적인 작용”이라고 하였다. 기독교의 성화는 일반.. 더보기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