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천신학

화란 개혁 교회 (31조파) 교회 헌법 (1982년 판) 화란 개혁 교회 (31조파) 교회 헌법 (1982년 판) 번역: 성희찬 1998년 6월 경에 영역본에서 번역한 것을 원본 (1982년) 을 대조하여 약간 수정한 것입니다. 우리 장로교 헌법과 개혁 교회 (31조파) 헌법을 원문으로 비교 대조하고, 이로써 개혁 교회를 이해하는데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싣습니다. 매끄럽지 못한 번역을 양해바랍니다. 파일첨부로도 달았읍니다. 참고: * 표는 제가 단 설명입니다. 1조 교회 헌법 (the Church Order) 의 목적과 분류 그리스도의 교회에 모든 것이 좋은 질서 (order) 가운데 있어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관련해서 규칙이 필요하다. 1. 직분 2. 치리회 3. 교리 및 예배의 감독 4. 권징 1부 직분 2조 세 직분 세 직분이 구별되어야 .. 더보기
KJV(AV)성경 극단적 옹호론자들에 대한 고찰 KJV(AV)성경 극단적 옹호론자들에 대한 고찰 김영엽 목사 서론 우리가 가진 성경은 66권으로서 하나님의 감동(딤후 3:16)으로 기록되었다고 하는 권위와 함께 이천 년의 역사가 그 권위를 더해 준다. 그러나 우리가 현재 소지하고 있는 성경은 오랜 전수과정을 거쳐왔기 때문에, 현재의 신구약 본문은 적어도 약간의 상치점들, 난제들, 불확실점을 담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성경 무오설을 내세우는 모든 진술들은 성경 원본에만 해당된다. 그러나 성경원본들은 지금 교회가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는 사본들을 연구할 수밖에 없다. 15세기 인쇄술이 발명되기 이전에 그 사본들은 대개 필사본들이었다. 만약 필사자들의 영감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필사본이 무오하다는 것은 엄밀히 말해서 정확하지 않다. 이와 함께 모.. 더보기
부패한 신학은 어디서 기원하는가? “부패한 신학은 어디서 기원하는가?”우병훈 목사 푸치우스의 『선별된 신학 논제』(Selectarum disputationum theologicarum) “부패한 신학은 어디서 기원하는가?” 푸치우스에 따르면, 부패한 신학(corrupta Theologia)는 아래와 같은 원인에서 발생한다. 첫째, 성경 원어에 대한 무지가 부패한 신학의 원인이다. 구약을 히브리어로, 신약을 헬라어로 다 외웠던 사람이었던 만큼, 초장부터 강하게 나왔다. 원어를 모르면, 문자적 의미도 파악 못하고, 성경 고유의 거룩한 용법들에 대해서도 무지하게 된다. 바로 여기서 부패한 신학이 발생한다. 둘째, 고대 역사와 교회사에 대한 부패한 신학의 원인이다. 역사를 모르거나, 고대인들의 풍습에 대해 잘 모르면, 성경을 제대로 해석할 수 .. 더보기
신학을 제대로 하려면 신학을 제대로 하려면 우병훈 목사 푸치우스(Gisbertus Voetius, 1589-1676)의 『선별된 신학 논제』(Selectarum disputationum theologicarum [Utrecht: J. a Waesberge, 1648]), 1권 2장에는 “스콜라 신학이란 무엇인가?”를 다룬다. 푸치우스의 신학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부패한 신학은 어디서 기원하는가?”하는 내용을 적은 다음에, 참된 스콜라 신학이 갖춰야 할 요소를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첫째, 신학을 제대로 하려면 관련된 학문을 깊이 공부해야 하고, 방법론을 제대로 알고 있어야한다. 관련된 학문이란, 철학, 논리학, 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등이다. 그리고 신학 방법론도 잘 알고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더보기
개신교의 예배의식의 발전과 그 형태 개신교의 예배의식의 발전과 그 형태 정장복 교수 (이 글은 정장복 교수 저, 예배의 신학, 85쪽 이하의 내용입니다.) 목 차 I. 서론적 접근--개혁의 필연성과 예배 II. 예배와 개혁자들 III. 개혁가들의 예배의식 형태 1) 루터와 그의 계열 2) 쯔빙글리와 그의 계열 3) 부처와 스트라스부르크 교회 4) 칼빈과 그의 교회 5) 존 낙스와 스코틀랜드 교회 I. 서론적 접근--개혁의 필연성과 예배 16 세기의 종교 개혁이 그 출발에 있어 신학의 개혁을 목적으로 했다는 사실은 그 누구나 다 아는 평범한 사실이다. 그러나 예배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 개혁의 필연성은 의미를 상실한 미사에서부터였다고 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 교회가 존재하는 일차적 목적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데 있음을 인정할 때 자연.. 더보기
한국의 경배와 찬양운동에 대한 개혁신학 입장에서의 비판과 그 대안으로서의 시편찬송 한국의 경배와 찬양운동에 대한 개혁신학 입장에서의 비판과 그 대안으로서의 시편찬송 한병수 지금까지 한국교회사를 통해 배운 내용은 오늘날 한국교회의 신학과 신앙을 규정하는 정치적, 경제적, 선교적 측면에서의 근원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의 신학적 표상이라 할 수 있는 예배의 성향을 주도하고 있는 것은 경배와 찬양운동이라 할 수 있다. 경배와 찬양운동이 예배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부곽된 현 시점에서 그 운동의 근원과 신학적 성향을 고찰하는 것은 현대 한국교회의 심장부를 진단하는 것과 진배 없다. 그래서 본 소논문은 오늘날 한국교회를 주도하고 있는 대부분의 대형교회들이 선두에 서고 개척교회까지 그 내용을 고스란히 카피하고 있는 경배와 찬양운동을 건설적으로 비판하여 보다 더 성격적이고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 더보기
강해설교 작성법(1) 강해설교 작성법(1) 정근두 목사(울산교회) 1강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1.하나님의 본래적인 고안 2.의사 소통의 본질 우선 의사 소통의 전반적인 고찰을 해보자. 인간이 하는 의사 소통은 세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의사 소통의 세 단계 ① 자기가 가진 자료를 부호 속에 담는 일 ② 이 부호를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일 ③ 수신자가 부호를 풀어 그 의미를 파악하는 일 의사 소통의 과정 자료 (정보) 부호화하기 부호 부신호를 풀기 수신자 간단하게 보이나 실제 삶의 과정에는 매우 복잡하다. 세가지 빈번한 오해 ① 의사 소통의 개별 행위는 분리되고 구분되는 그렇게 연구될 수 있다. ② 의사 소통이란 메시지가 한 출처에서 수신자에게로 나아가는 일방적인 진행과정 이다. ③ 의사 소통이란 말하는 사람이 자기 생.. 더보기
헌상 : 구원얻는 신앙의 표지 헌상 : 구원얻는 신앙의 표지 신자에게는 어떤 목표를 향해서 자꾸 장성해 가는 모습이 있습니다. 그의 아는 것이나 그의 정서와 의지에서 비롯되는 생활이 점점 성숙을 향해서 향상되어 나아가는 생활의 자태가 있습니다. 이것은 어떤 의미에서 불신자에게도 있는 것이고 불신자 역시 구하고 나아가는 바이지만 신자의 장성한 생활은 불신자가 자기의 도덕적인 완성이라든지 인격적인 성숙을 향하여 가는 장성의 자태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있습니다. 그 다른 점들에 의해서 장성의 차이점이 더 명료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신자의 경우, 장성한 삶을 향하여 자꾸 나아가게 되는 출발점은 자기의 도덕적인 완성이라든지 인격적인 성숙에 있지 않습니다. 그런 것을 목표로 삼기 때문에 뭔가 애쓰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신자가 장성한 삶을.. 더보기
예배 순서 중 ‘참회의 기도’에 대한 예전학적, 조직신학적, 주해적 검토 그리스도인은 “칭의된 죄인”인가? – 예배 순서 중 ‘참회의 기도’에 대한 예전학적, 조직신학적, 주해적 검토–김창훈 목사 (미국 트리니티신학교 신약학 박사과정) 임대웅 목사 (남아공 스텔렌보쉬대학교 예전학 박사과정) 0. 서론 예배 중에 드리는 ‘참회의 기도’는 옳은가? 이런 질문을 스스로 해본 분도 있고, 또 이런 질문을 받아본 분도 있을 것이다. 혹시 ‘참회의 기도’는 가톨릭 교회의 잔재가 예배 순서 중에 남은 것이 아닐까? 꼭 우리가 예배 중에 참회의 기도를 해야 하는가? 개인적으로하면 되지 않을까? 그리고 나는 예수님을 믿는 신자인데 꼭 내 자신을 ‘죄인’이라고 부르며죄를 용서해 달라고 비는 것은 무의미하고 소모적인 일이 아닌가? 예수님을 믿고 구원을 받아 의인이 되었다고 들었는데 왜 나는 아직.. 더보기
교회예식문 독립개신교회 교육위원회에서 번역하여 채택한 일곱 가지의 교회 예식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아세례 예식문 - 성인(成人) 세례 예식문 - 공적(公的) 신앙고백서 - 성찬 예식문 (I) - 성찬 예식문 (II) - 장로와 집사 임직 예식문 - 혼인 예식문 이 일곱 예식문 가운데 ‘유아세례 예식문’과 ‘성인 세례 예식문’, ‘성찬 예식문 (I)’, 그리고 ‘혼인 예식문’은 도르트 대회(1618-19) 때에 택한 것이고, ‘공적 신앙고백서’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우트레흐트 총회(1923)에서 택한 것이며, ‘성찬 예식문 (II)’는 192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것입니다. 교회들에 따라서 문구가 조금씩 다른데, 이 예식문을 번역할 때 화란 개혁교회(De Gereformeerde Kerken in Nederla..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