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축자 영감 축자 영감 이성호 교수 성경은 하나님의 영감으로 씌여졌다. 이것은 성경이 명확하게 가르치는 진리다. 따라서 성경의 영감성을 부정하는 사람은 참된 기독교인이 아니다. 문제는 하나님의 영감이 어떻게, 어느정도까지 이루어졌는가이다. 영감의 방식와 영감의 범위는 조심스럽게 구분되어야 한다. 이 구분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 쓸데 없는 논쟁이 재생산되고 있다. 영감의 범위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축자 영감과 사상영감으로 나눌 수 있다. 축자 영감은 성경의 원본이 글자 하나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께서 역사하셨다는 주장이다. 반면, 사상 영감은 성경 저자의 사상에 한해서 영감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 사상 영감을 주장하는 부류들 가운데, 로마카톨릭의 경우, 성경의 영감 범위를 교리와 도덕에 한정시킨다. 그렇게 되면,.. 더보기 믿음과 행위 믿음과 행위 이성호 교수 믿음과 행위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논의들이 건설적인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오히려 혼동만을 주는 경우가 매우 많은 것 같다. 이 글은 이러한 혼동을 정리하기 위한 글이다. 1. 믿음과 행위는 구분되지만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믿음은 본질적으로 확신에 찬 지식 (assured knowledge)이다. 즉, 믿음의 본질은 앎(knowing)이다. 반면 행위는 우리 자신이 행하는 것(doing)이다. 따라서 믿는 것도 어떻게 보면 행위의 범주에 들 수 있다. 2. 중요한 것은 참된 믿음과 거짓된, 혹은 헛된 믿음을 구분하고, 참된 행위와 거짓된 행위를 구분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헛된 논쟁들을 계속 양산하게 된다. 2. 1. 성경에서 말.. 더보기 개혁주의 구원론에 대한 小考 개혁주의 구원론에 대한 小考 김재윤 Ⅰ. 연구의 필요성 오늘날 한국 교회의 현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많은 문제들의 궁극적 원인은 결국 강단의 문제로 귀결되고, 이는 곧 설교의 문제요, 한국 교회 내에 팽배해 있는 교리상의 문제를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종교 개혁자 마르틴 루터(M. Luther)의 이신칭의 교리의 재발견으로 개혁 교회는 구원론에 있어서 이신칭의의 중요성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러나 후에 스코필드 주석의 영향과 샌디먼파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믿기만 하면 구원얻는다는 식의 신앙지상주의(Believism)가 만연되게 되었고, 한국 교회도 C.C.C. 선교 단체의 사영리 교리에서 볼 수 있듯이 이러한 구원론을 여과 없이 받아들였고, 그러한 결과 세속적인 그리스도인이라는 구원론.. 더보기 개혁주의 인식론 개혁주의 인식론 이성호 교수 1. 용어에 대해서. 개혁주의 인식론(Reformed Epistemology)는 일단 인식론의 한 종류이고 그 가장 큰 목적은 기독교를 철학적으로 변증하는 것이다. 즉 변증적인 목적이 강하다. 핵심적인 내용은 우리가 하나님을 증거없이 합리적으로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의 믿음이 진정으로 기본적인 믿음(properly basic faith)에 속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진정으로 기본적인 믿음"은 개혁주의 인식론의 핵심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인식론을 "진정으로 기본적인 인식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것을 개혁주의 인식론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이들의 주창자가 그렇게 원했기 때문이고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칼빈의 sensus divinitatis (신의식) 에서 가져왔기.. 더보기 직분과 자질 직분과 자질 천사를 바르게 알게 되면,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두신 곳에서 우리에게 맡기신 일들을 천사처첨 즐거이 그리고 충성스럽게 하려는 열망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것은 직분과 자질이라는 주제에 대해서도 우리에게 말해 주는 것이 있습니다. 천사의 봉사를 보면 그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소돔과 고모라를 심판하는 일에도 천사 둘이면 충분했습니다. 훗날 사마리아 성을 둘러싼 아람 군대를 물리치는 일도 하룻밤 사이에 금방 이뤄졌습니다. 천사가 하나님의 뜻을 사도 요한에게 가르쳐 주니까 요한이 그 앞에 엎드려서 절하려 했습니다. 천사는 절하지 말라고 하면서 “나도 너와 함께 하나님의 종이다.” 하면서 말렸습니다.(계 19:10) 그렇게 능력과 지혜가 있는 천사를 하나님께서는 우리처럼 .. 더보기 개혁파 정통신학에 대한 멀러 테제에 대한 교의학적 성찰 개혁파 정통신학에 대한 멀러 테제에 대한 교의학적 성찰16세기 종교개혁자들의 뒤를 이어서 16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까지 이어진 개혁파 정통신학(reformed orthodoxy) 또는 소위 “칼빈 이후의 칼빈주의(Calvinism after Calvin)라고 좀 부정확하게 언급되기도 하는”신학 사상에 대해서는 과거에도 정통주의 신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를 원하는 학자들은 일관성 있게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왔으나, 19세기와 20세기의 일부 학자들은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며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면서 논의하는 일이 많았었다. 이에 대해서 아직도 서로 대립되는 다른 논의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으나,근자에 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신학의 연속성/비연속성 문제 대한 재평가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시도되고 있는데그.. 더보기 사도신경의 지옥강하 사도신경의 지옥강하 황대우 교수 서론: 사도신경의 중요성 사도신경(Symbolum Apostolicum)의 공인본문(textus receptus)에는 예수님께서 “음부에 내려가사”(descendit ad inferna)라는 지옥강하(혹은 음부강하)에 관한 문구가 들어있지만, 한국교회가 공인한 사도신경에는 이 구절이 빠져 있다. 최근 고신총회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대소교리문답을 새롭게 번역하면서 이 문구를 삽입했는데 이것에 대해 찬성과 반대 의견이 대립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 같다. 극단적인 개신교도 가운데는 사도신경이 로마 가톨릭의 유산이라고 여겨 아예 그 자체를 거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교회가 유구한 역사 속에서 수많은 분열을 거듭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핵분열 가운데서도 사도신경.. 더보기 십계명의 간략한 개요 십계명의 간략한 개요 G. I. 윌리암슨 하나님을 사랑하라-하나님에 대한 사랑의 의무 ⑴ 첫째 계명은 우리가 누구를 경배할 것인가(예배의 대상)를 가르쳐 주고 있다. 우리는 참 하나님만을 경배해야 한다. 어떠한 경우이든 하나님께 드려야 하는 예배를 다른 것에게 드리는 것은 합당치 못하며, 다른 신을 예배의 적법한 대상으로 인정하여서도 안 된다. 유대인들이나 유니테리언들이 예배 의식을 거행하는 것처럼 기독교인들이 행하는 경우에 이 계명이 자주 범하여지며, 기독교인들이 그러한 자들과 함께 “아무 아들도 없는 신”을 예배함으로써 더욱 악하게 이 계명을 범하게 된다(요일 5:12; 요이 9). ⑵ 둘째 계명은 우리가 어떻게 예배할 것인가(예배의 방법)를 가르쳐 주고 있다.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명령하여 그를.. 더보기 칼빈의 기독론 연구 칼빈의 기독론 연구 신원균 목사 Ⅰ. 서 론 루이스 벌꼽은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그리스도는 사람과 하나님으로, 사람의 아들과 하나님의 아들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하였다.그렇지만 유일신을 특별히 강조했던 유대교의 잘못을 비롯해서, 에비온파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하였다. 그리스도는 단순한 인간이었으며, 그가 메시야의 자격을 얻게 된 것은 세례 받으실 때에 성령의 임함으로 말미암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변증가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변호하는 것이 그들의 큰 과업이었다.하지만 그리스도의 신성을 고수하던 자들 가운데 일부는 오히려 그리스도의 인성을 희생시키고 말았다. 영지주의자들이 그러하였고 후대 하르낙과 같은 신학자가 그러했다. 양태론적 단일신론자들 역시 그리스도의 신성을 너무 고집하다 보니,그리스도는.. 더보기 개혁주의 기독론 개혁주의 기독론박일민(칼빈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예수님은 어떤 분이며 무슨 일을 하시는가 " 교회는 신앙을 고백할 때 흔히 사도신경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사도신경은 그 대부분이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고백으로 되어 있다. 이는 믿음의 핵심이 예수 그리스도에 있음을 의미한다. 이제 우리의 믿음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분이신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1. 예수는 참되고, 완전한 하나님이시다 1) 참된 하나님 귀신 같은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보통 사람으로는 도저히 상상하기 어려운 남의 사정이나 장래의 일을 알아 맞추는 사람을 일컬을 때 쓰는 말이다. 이런 사람은 신성한 사람으로 대접을 받기도 한다. 심한 경우에는 신으로까지 추앙을 받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종교의 교주들이나 이단들이 생겨났다. 교..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