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신학

능동적 회심 능동적 회심 사무엘 홉킨스 (Samuel Hopkins, 1721-1803) 능동적 회심은 하나님의 섭리를 통한 변화의 진정한 열매이며 결과다. 이성이 중생하고 새로운 마음이 생겨날 때, 하나님의 일들은 새로운 빛 가운데 드러나게 되며 마음은 새로운 방법으로 움직이기 시작하게 될 것이다. 이제 이성에 첫 번째로 생겨나게 되는 일은, 모든 존재 위에 탁월함을 보이시는 동시에 어디든지 존재하시는 하나님의 존재다. 이제 마음은 전에는 결코 가져보지 못했던 확신을 품고 하나님이 실제로 계심을 보고 느끼게 되며,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엄위, 지혜, 공의, 선함, 탁월함, 영광에 주목하게 되며, 그의 마음은 넋을 빼앗기게 된다. 이제 그는 신성한 것들 사이에 둘러쌓여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며, 하나님께서 어느 곳에.. 더보기
청교도 사상의 핵심적 요소 3가지와 자유의지에 관한 고찰 청교도 사상의 핵심적 요소 3가지와 자유의지에 관한 고찰 이제 본격적으로 청교도 사상과 그들의 독특한 특성을 살펴본다. 물론 이 모든 것을 다 다루기보다는 계몽주의와 비교될만한 청교도들의 성향인 하나님 주권 사상과 성경에 대한 견해(절대 진리로 인정하고 설교함), 그리고 그들의 신앙생활 즉, 삶(신앙의 실천, 죄 죽이기)이라는 3가지 주제로 일축하여 깊이 있게 다뤄보고자 한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추가적으로 청교도들이 고민한 자유의지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첫째로 하나님 주권 사상이다. 청교도의 전통을 이어 받은 아더 힐더샘(Arthur Hildersam)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어떤 고통 가운데 있을 때 기도로 하나님께로 날아가 위로를 구해야 한다. 죄의 용서는 우리에게 일어날 수 .. 더보기
개혁주의에 대한 이해 개혁주의에 대한 이해 신복윤 목사 개혁이라는 말은 본래 16세기 로마 카톨릭의 오류와 폐단에 대항하여 일어난 교회들의 성격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그러므로 개혁이라는 말은 더 넓은 의미에서 종교개혁의 모든 교회에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모두가 교회생활과 개인생활에서 한결같이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 것을 고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말은 매우 제한된 의미를 갖는다. 이 말은 루터의 사상에서 그 자체를 구별짓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개혁주의라는 용어는 또한 칼빈주의라는 말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1. 개혁주의의 사상적 특징 개혁주의는 칼빈으로부터 전해진 사상체계이다. 창시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이 사상체계의 중요한 해설가이다. 칼빈의 신학사상은 개혁운동에 이바지한 다른 위대한 지도자.. 더보기
성령의 은혜로서의 구원의 서정(The Order of Salvaition) 성령의 은혜로서의 구원의 서정(The Order of Salvaition) 김병혁 목사 구원에 순서가 있다? 없다? 기독교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원을 얻는다는 것을 믿는 종교이다. 기독교에서 구원을 제외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기독교 신학의 근간이 되는 조직신학에서도 구원론을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다. 실제로 구원론은 기독교 신학의 중심이다. 그리스도인 중에 이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구원을 얻는데 순서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점이다. 혹자들은 구원을 얻으려면 어떤 도식적인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다른 사람들은 한번 구원 받은 사람은 과정적 단계가 필요 없다고 말한다. 이러한 논의는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구원의 순서라는 것이 성경에 명확하.. 더보기
언약과 선택 그리고 언약과 설교 예배 언약과 선택 그리고 언약과 설교 예배고재수 교수 화란 개혁교회 안에서 언약은 중요한 연구대상의 하나였다. 이 언약에 대해서 여러 총회가 중요한 결정들을 하였다. 예를 들어 1905년의 총회는 언약의 자녀의 위치에 대해 결정하였는데, 그것은 “우리 교회의 고백에 따르면 하나님의 약속아래 있는 언약의 자녀는, 자라는 동안 그 행실이나 교리상 반대의 경우가 명백해지기까지는, 중생되고 그리스도 안에서 성화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후 특별히 30년대에 언약이라는 주제는 많이 토의되었다. 언약의 기초가 다시 연구되었고 옛 신학자들, 특히 칼빈 견해가 전면에 부각되었다. 여러 가지 견해가 나타났다. 1936년 총회는 다른 주제들 중 특히 언약사상을 연구할 위원회를 임명하였다. 1942년에는 한가지를 .. 더보기
Regeneration: 중생: 성령으로 새롭게 태어난 신자의 출생 비밀 Regeneration: 중생: 성령으로 새롭게 태어난 신자의 출생 비밀 구원받기 위해 절대적으로 거듭남이 필요한 이유 사람은 영적 죽음의 상태에서 태어난다 (엡 2:1) 사람은 거듭나지 않으면 영생을 얻어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한다 (요 3:3, 5) 중생은 신자의 생활에 있어서 성화에 대한 가능성,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닮아 갈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준다 중생에 대한 오해 중생은 인간 본성의 실체의 변화가 아니다. 즉 인간 본성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가 아니다. 중생은 근본적으로 영적인 변화이기 때문이다. 중생은 영혼의 기능(지성.감정.의지)의 변화가 아니다. 중생은 영혼의 전 기능에 변화를 주는 영혼의 중심(마음)의 변화이기 때문이다. 중생은 인간의 본성 전체나 부분에 있어서 완전한 변화가 .. 더보기
멀러 테제와 개혁신학의 미래 멀러 테제와 개혁신학의 미래 김남준 목사 리차드 알프레드 멀러가 하고 있는 신학적 작업들이 우리에게 함의하는 바가 충격적이다. 기존 우리들이 편견에 의해 보지 못하고 있었던 신학연구의 다른 부분에 대해 볼 수 있게 해준 것에 대해 충격적이다. 멀러 테제에서 테제는 자신이 발견한 테제가 아니라 이미 있었던 것인데, 너무 오랫동안 여러 편견으로 인해 잊혀졌던 것들을 다시 보여주는 것 뿐이라 멀러는 말한다. 그렇다면 멀러 테제라는 것이 무엇인가? 중세는 종교개혁과 관계가 없다. 종교개혁이 성경적 신앙을 재건하였는데, 그만 시간이 흘러 종교개혁자 1-2세대의 순수한 가르침을 그의 제자들이 변형시키기 시작했다. 루터파에서는 멜랑히튼이 주범이고, 칼빈파에서는 베자라는 사람이 주범이었다. 그들의 큰 과오는 종교개혁자.. 더보기
중생 : 새로운 성향 ◈ 제 42강 중생 : 새로운 성향 ◈ Ⅰ. 중생 교리의 중요성 1. 효력 있는 부르심과 중생의 관계 1) 일반적인 부르심을 효력 있게 만들기 위해 성령은 정확하게 무엇을 하시는가? 그 답은 중생(regeneration)입니다. 2) 구원받은 자들 안에서는 효력 있는 부르심이 있습니다. 무엇이 그 부르심을 효력 있게 만듭니까? 성령께서 신자 안에 하시는 중생의 사역에 의해서입니다. 2. 오늘날 중생에 대한 이해의 문제점 1)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중생의 교리는 속죄의 교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교리입니다. 2) 중생의 교리를 분명히 해야 다른 모든 기독교 교리와 진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그런데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교리를 무시합니다. 죄사함의 개념까지만 이야기 하고 거기서 멈추어 버립.. 더보기
중생한 사람도 죄를 짓는가? 중생한 사람도 죄를 짓는가? 김명도 교수 중생한 사람은 도무지 죄를 짓지 않는다고 가르치는 분들이 있다 (완전주의). 정말 그러한가? 아담 안에서 범죄 하여 완전히 타락한 인간이 하나님의 택정함을 받아 예수를 믿어 성령께서 우리 안에 거하시고, 복스러운 믿음을 통해서 하나님이 우리를 의롭다고 일컬어 주시어, 하나님의 아들, 딸로 삼으시면 그 때부터 성도는 죄에 대하여 죽으며 의에 대하여 살려고 몸부림치며 그 마음속에 그리스도의 형상(Imago Christi)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성령님께 매달려서 기도하며 성경 연구하며,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서 하나님에게 영광을 돌리려는 마음이 스스로 우러나오게 된다(spontaneous inclination to magnify His name). 세상의 옛 풍속을 사랑.. 더보기
Kenosis theory의 비판 Kenosis theory의 비판 G.Thomasius의 상대적 속성만 비웠다는 것에 대해 우리는 두 질문을 할수 있다. 하나는 빌 2:5-8의 해석이 주석적으로 옳은가 하는 것이고(신약해석학적 문제), 다른 하나는 그리 스도의 양성론에 무슨 문제가 생기는가 하는 것이다. Kenosis theory의 성서적 근거(라고 보는 구절들, 사실상 근거가 없음) 빌 2:5-8 “....오히려 자기를 비어....” “비어”(Έκένωσεν ← κενόω)라는 단어에 근거하여 예수께서 이 지상에 계시는 동안 신성에 속한 모든 속성을 부분적으로 또는 모두 비우셨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1) 양성론의 교의학적인 문제 첫째, 만약 3년기간동안 예수가 신성의 일부(상대적 속성)을 비웠다면 그는 3년동안만은 참 하나님이 아니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