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신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교회는 세 가지 점에서 비가시적이며 가시적이다 칼빈에 따르면, 교회는 세 가지 점에서 비가시적이며 가시적이다.] (1) ‘보편적 교회’로서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다른 지역과 다른 시대의 교회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2) ‘택자들의 모임’으로서, 이는 그리스도의 재림 시에 비로소 완성되고 나타나게 될 것이다. (3) ‘부름 받은 택자들의 모임’으로서, 왜냐하면 우리는 지상의 교회에서 참된 신자들을 구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나중에 여전히 교회가 비가시적이라고 불릴 수 있었던 다른 관점들이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교회는 이 세상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며, 교회의 머리인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자신도 비가시적이기 때문이며, 교회의 가장 큰 부분이 하늘에 있기 때문이며, 교회가 시간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은혜의 방편을 사용하지 못할 수.. 더보기 하나님의 아들이 우리와 연합되지 않으신다면 만일 하나님의 아들이 우리와 연합되지 않으신다면, 그분 자신은 무언가 스스로를 불완전한 존재로 여기십니다. 이것이 교회가 누리는 가장 고귀한 영광입니다! 우리가 그분과 함께 할 때에야 비로소 그분이 모든 것을 완전히 갖추신다는 것. 혹은 그 때에야 비로소 완전하게 여겨지기를 바라신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이, 우리에게는 얼마나 큰 위로입니까? - John Calvin and William Pringle, Commentaries on the Epistles of Paul to the Galatians and Ephesians (Bellingham, WA: Logos Bible Software, 2010), 218. 더보기 율법적 경건주의의 폐해 “결국, 다른 그 어떤 것보다 영적 생명을 소유했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꼼꼼한 점검을 통해 더욱 억제되는 것을 느꼈다. 단지 예외적으로 사람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무감각;을 탄식하는데 이를 뿐이었다. 그리고 자발적인 느낌보다 더 많은 자발적인 행동은 지속적인 자기 반성을 통해 억제 되었다. 좋은 씨앗은 얼마나 성장했는지 보기 위해 반복적으로 파헤쳐 질 때 무성하게 자랄 수 없다. 경험에 주목하면서 사는 것은 의지를 마비시킨다. 사람들은 정력적인 활동을 통해 드러내려고 너무 분주하게 자기 자신에 몰입하고 있다.” 바빙크 더보기 구원과 순종 나는 우리의 순종이 구원에 필수적이라는 주장에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그것은 우리의 칭의에 있어서 부분적 원인이다. 필수적인 것들이 많이 존재하지만 원인이거나 의롭게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구는 필수적이지만 의롭게 하지 않는다. 만약 죄인이 구원받기를 원한다면, 그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어거스틴이 한 말은 진리다. "당신 없이 당신을 창조하신 분은 당신없이 당신을 구원하지 않을 것이다" 행위는 구원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구원을 일으키지 않는다: 왜냐하면 믿음만이 생명을 주기 때문이다. 위선자들 때문에 우리는 선행이 구원에 필수적이라고 말해야한다. 루터 더보기 성화에 대한 견해 “특별히 칼빈 신학은 성화에 있어서도 협력 사역을 부정하였다. 루터 신학의 경우에도, Karl Holl과 Martin Seils 사이의 논쟁에서 보여 주듯이, 하나님 만이 우리 안에서 모든 것을 행하시고 역사하신다는 입장이 루터의 기본 입장이다. 다만 인간과 하나님과의 협력 사역은 허용되어도,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행하시되 우리 없이 행하시지 않으신다(non operatur in nobis sine nobis)’는 성격이다.” 김영규 더보기 공로와 은총 칼빈은 하나님의 은총을 희미하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그리스도 예수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궤변가 무리들의 문제점을 꼬집고 있습니다. 그 무리들은 그리스도 예수가 고작 “도구나 시중드는 사람”일 뿐이고 “생명의 저자 혹은 인도자와 주인”이 되신다는 베드로의 증언은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칼빈도 만약 예수님 자신이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단순하게 그리고 스스로” 서신 분이라고 한다면 타인에게 유익을 끼친다는 ‘공로’의 개념은 들어설 자리가 없었을 것임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예수는 개인적인 이유로 이 땅에 오시지 않았으며 “예정과 은총의 가장 밝은 빛”으로 오셨으며 중보자의 자격도 스스로의 노력으로 취득하신 것이 아니라 만세전에 정하여진 하나님의 자비로은 뜻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더보기 하나님의 영원성의 두 가지 개념_무시간성 vs 영구성 아우구스티누스, 안셀무스, 토마스 등 대부분 고전적 기독교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영원하신 존재를 무시간성(timelessness)으로 이해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존재가 시작이나 끝이 없다는 뜻만은 아니다. 하나님의 무시간성은 하나님이 전적으로 시간 바깥에 존재하신다는 뜻이다. 무시간적인 하나님에게 모든 시간은 하나의 영원한 현재로 존재한다. 무시간성의 교리는 플라톤 철학에 기원하며, 신플라톤주의에서 성숙,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플라톤주의에 의해서 기독교에 들어왔다. 중세에 둔스 스코투스, 윌리엄 오컴의 도전을 받았지만, 가톨릭과 개신교 양자 모두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현대에 무시간성 교리의 가장 큰 옹호자는 폴 헬름(Paul Helm)이다. 그는 하나님의 무공간성이 전통적인 유신론의 요구사항이며, 하나님.. 더보기 존 오웬의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 존 오웬의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 1권 신자 안에 내재하는 죄에 관하여 1. 오웬의 인간론 맥락에서 살펴본 성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창조된 것이 인간 본래의 자리이지만 인간 스스로 그 자리로 돌아갈 능력은 없다.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은 바로 이러한 인간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기 위한, 즉 타락으로 인해 잃어버린 인간 존재의 신적 목적으로 돌아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몇 가지에 주목해야 한다. 첫째,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목적이다. 하나님은 인간을 자신의 형상을 따라 창조하시고, 하나님이 만드신 두 세상 곧 천상의 세계와 지상의 세계 중, 지상의 세계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구현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도록 부름 받았다. 둘째로, 창조 목적을 벗어난 인.. 더보기 성경에 대한 이해 1. 성경(聖經, bible)의 의의(意義) 거룩한 정경이라고 선포된 책으로, 인간을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뜻이 말씀의 형식으로 기록된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책이다(요5:39,20:31;딤후3:16,17). 2. 성경의 명칭(名稱) 1) 성경(聖經) 성(聖)은 히브리 말로 「코데쓰」로서 구별한다는 뜻이요, 세상을 떠나 하나님과 관계된다는 뜻이다. 경(經)은 헬라말로「캐논」으로서 「곧은 자」, 「척도」, 「표준」이란 뜻이다. 따라서 성경은 하나님이 계시하신 신앙의 규범으로서 신자들의 신앙과 행위에 표준이 된다(수23:6;신28:1). 2) 바이블(Bible) 희랍어의 “비블리아”(Biblia)란 말에서 왔는데 이것은 “작은 책들”이란 뜻이다(계10:2,9). 3) 약속(約束, Testament) 라틴어 'T.. 더보기 믿음에 대한 이해 믿음에 대한 이해 1. 믿음(信, faith)의 정의 1) 보이지 않고 성취될 것 같지 않는 사실에도 하나님의 약속하심을 마음 속에 확신하는 것이다(히11:1-3). 2)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중심에 영접해 드린 상태이다(롬10:9; 요1:12;계3:20). 2. 믿음의 목적 1) 구원받기 위함이다(행16:31;롬10:13;막16:16). 2) 영생을 얻기 위함이다(요3:16,5:24,6:47;엡3:12). 3. 믿음의 근원 1) 하나님의 선물이다(엡2:8;롬12:3;벧후1:1) 2) 그리스도의 말씀이다(롬10:17,1:2,16;요20:31;행4:4) 4. 믿음의 대상 1) 하나님(막11:22;딤전2:4) 2) 예수 그리스도(요14:1,11;갈2:16,20;히12:2) 3)..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