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천신학

목회의 본질 목회의 본질 리차드 백스터 제2장 양떼들을 보살핌 (牧會) 제1부 목회의 본질 목사들이 주의할 것을 제시했으니 다음으로는 양떼들이 주의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목사가 감독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들의 모든 생활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기쁘게 하고 영광을 그에게 돌리며 그의 교회에 영광을 돌리는 것도 우리 생활의 궁극적 목적입니다. 우리가 하는 직무의 가까운 목적은 우리가 맡은 양떼들을 성화하게 하고 거룩한 순종을 하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그들을 연합시키고 질서를 유지하며 미(美)와 힘을 보호 증거하게 하며 특별히 회중이 하나님을 올바르게 경배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목회하는 데에 주요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영적인 문제, 또는 하나님을 기쁘게 하는 문제나 양떼를 구원하는 문제입.. 더보기
성직자의 자아성찰(自我省察) 성직자의 자아성찰(自我省察) 리차드 백스터 경애하는 형제들이여 어떤 사람들은 바울이 에베소 장로들에게 했던 권고는 자신을 그들의 감독자로 증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주님의 종인 우리들은 그런 결론에는 구애받지 않고 바울과 똑같은 권고를 여러분에게 하고자 합니다. 마치 관리들이 주안에서 백성들을 다스리는 것 같이 양떼들을 가르치지만 우리들은 형제로서 직무를 수행하며 믿음 안에서 가르치는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책임 맡은 양떼들이 서로 서로 가르치고 훈계하며 권고하기를 매일 매일 계속한다면, 우리들도 우열의 다툼 없이 서로 서로 가르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들도 양떼들과 똑같이 영혼을 죽이는 죄를 지니고 있으며, 똑 같이 영혼을 살 수 있게 하는 은혜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양떼보.. 더보기
지방에서의 분립 개척의 현장을 찾아서 지방에서의 분립 개척의 현장을 찾아서 이성호 교수 이 원고는 성결교 교단지 활천의 2009년 9월호에 분립개척에 대한 특집 기사 중 하나로 게재된 글로 출판사의 허락을 받아 약간의 오자를 수정하여 싣는다. 이는 필자의 2년 전 글이기 때문에 현재상황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밝힌다. -코닷- “목사가 자기 살은 베어 주어도, 자기 교회 교인들은 떼어 주지 않는다.”라는 말이 있다. 이것을 좋게 해석하면 목사가 자기 교인을 정말로 사랑한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으나, 보다 정직하게 해석하면 한국교회 목사들이 개교회 중심주의의 늪에 얼마나 깊이 빠져있는 지를 잘 나타내는 표현이다. 이 말은 분립개척이 얼마나 쉽지 않은 지를 선명하게 보여 준다. 개척을 하는 교회에, 기도로 지원하고, 돈으로도 엄청난 지원은 하지.. 더보기
한국교회 최대의 적 샤머니즘 한국교회 최대의 적 샤머니즘 성희경 목사 “성경의 바른 진리로 무장된 진리의 투사를 필요해” 요즘 나는 한국 교회를 생각하면 두렵기도 하고, 큰 슬픔을 느낀다. 한 때 나는 내가 목사라는 사실에 긍지를 느끼며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다. 그러나 지금은 그 긍지가 사라지고 있으며, 어느 때는 부끄럽기도 하다. 이는 한국 교회가 내뿜는 악취가 전국을 진동시키기 때문이다. 나 또한 한국 교회의 목회자의 한 사람이기에 비판을 하면서도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왜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는 소금의 역할을 해야 할 교회가 오히려 사회로부터 지탄을 받는 대상이 되었을까? 최근 한기총이 보여준 추한 모습들, 목사들의 갖가지 추문들, 타종교와 불필요한 갈등을 야기하는 기독 청년들의 이상한 행동들, 타종교인과 비교하여 .. 더보기
상담자의 자질 상담자의 자질 상담에 대한 개념과 영역이 점점 확장되어 가는 오늘의 현실에서 상담자들은 종전에 비해 한층 다양한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처럼 다양화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하여 상담자의 자질은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의 자질이 곧 내담자의 문제해결 및 성장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상담자의 자질에는 전문적 능력과 사람됨의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여기에서 전문적 자질과 인간적 자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전문적 자질 전문적 자질이란 상담자가 상담분야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훈련하여 자기 자신의 이론적 위치를 다지는 것을 말한다. 상담자에게 있어서 전문적 자질을 향상시키는 길은 먼저 상담에 관한 자신의 이론적 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만약 상담에 관한 아무런 기반도 없이 상담에 임하는 상담자가 있다면 .. 더보기
신복음주의 - New Evangelicalism - 신복음주의 - New Evangelicalism - D. 클라우드 신복음주의(新福音主義)의 역사 1. 근본주의자와 현대주의자 간의 논쟁이 신복음주의를 낳는 발판이 되었다. a. 현대주의(Modernism)는 1800년대 유럽에서 시작되어 급속히 전파되었다. b. 현대주의는 합리주의 진화론적 사고를 기독교에 적용하였다. c. 현대주의의 핵심 원칙은 성경에 대한 역사적 비평적 접근이다. 1951년 판 Revised Standard Version(RSV)의 번역자들은 현대주의자들이었으며, 그들의 저서는 성경에 대한 공격의 예를 잘 보여주고 있다. “때로는 계시가 거룩한 책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심지어 기독교계에서는 성경기록들이 실제적으로 저자(著者)들이 성령님을 통하여 받아서 기록한 것이라고 주.. 더보기
신복음주의가 치명적인 이유들 신복음주의가 치명적인 이유들촬스 우드부릿지, "신복음주의는 가장 치명적인 신학적, 도덕적 타협이다. 그 입장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교활한 공격이다. 개신교 종교개혁 이후, 그리스도의 교회가 이보다 더 간교한 위협을 직면한 적은 없다. . . . 그 입장은 몇 가지 이유에서 치명적이다.첫째로, 그것은 신학적 부패의 한 형태로서 복음주의 진영들 밖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고 또 그 진영들 밖으로부터가 아닌 안으로부터의 공격이기 때문이다.둘째로, 그것은 어떤 경우들에서 수년 동안 성경을 믿는 복음주의자로 알려진 자들에 의해 옹호되기 때문이다. 이들 중 어떤 이들은 참으로 한때 신앙의 변호자들이었다. 그들은 무리들의 신임을 얻었기 때문에 저들은 그들의 견해들이 바뀌었다는 것을 믿으려 하지 않을 것이며 그들을 따라.. 더보기
신복음주의의 개념 신복음주의의 개념 복음주의가 무엇인가? 복음주의(福音主義, Evangelicalism)는 역사적으로 16세기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루터교회와 개혁교회를 중심한 개신교회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었다. 개신교회를 복음주의라고 부른 것은, 신약 성경에 밝히 증거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왜곡시키고 복음 대신에 성례(聖禮)나 신자의 공로적 선행을 가르쳐왔던 로마 카톨릭 교회(천주교회)와 구별하기 위해서이었다. 이와 같이, 복음주의는 역사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을 믿는 입장, 곧 성경적 기독교이었다. 그러나 현대 자유주의 신학들이 역사적 개신교회들 속에 들어와 교회들을 부패시키고 변질시켰던 20세기 중엽 이후, 복음주의는 두 부류와 진영으로 나뉘어졌다. 하나는 자유주의 신학이나 자유주의화 된 .. 더보기
강해설교 방법론(7-1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
강해설교 방법론(4-6)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