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들뢰즈의 플라톤과 시뮬라크르 들뢰즈는 독특한 프랑스 철학자다. 포스트모던의 대표 주자이기도 하다. 원래 서양철학은 플라톤-아퀴나스-칸트-헤겔로 이어지는 이원론 전통이 있다. 눈으로 볼 수 있는 세계를 현상계(가시계), 실제로서 알 수 있는 가지계, 곧 이데아의 세계다. 이를 에피스테메(episteme)라고 하고 현상계를 독사(doxa)라고 했다. 에피스테메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독사는 독단으로써 서계를 일컫는다. 이 에피스테메는 푸코에게 가서 쿤의 패러다임과 비슷한 개념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세계와 존재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중세 스콜라철학에서 더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하나님을 정점으로 만물을 위계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데아는 원본, 그다음은 복사본(copy), 다음은 유사본인 시뮬라크르(simulacre)가 된다. 사실 이 구조는.. 더보기
아퀴나스 신학과 종교개혁 신학의 차이점 아퀴나스는 신존재증명을 했다. 이 말은 이성과 신앙이 하나의 체계라는 의미다. 이것은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체계와 관련이 있다. 즉, 가시계로써 현상계와 가지계로서 이데아계가 동일성의 원리로 이데아계로 환원된다는 의미다. 그래서 자연을 통해 이성의 유추로 신존재증명이 가능한 것이다. 이런 동일성의 원리의 전통이 플라톤-아퀴나스-칸트-헤겔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체계로 가능한 신학을 흔히 자연신학이라고 한다. 이런 체계의 대표적인 예가 중세 스콜라 체계다. 스콜라 체계는 하나님으로부터 만물이 유기적인 계층구조(Hierarchy)를 띤다. 이런 이유로 자연을 통해 신존재증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중세 스콜라 후기의 오캄(William of Occam, 대략 1300-1349)이란 신학자는 이성을 통해.. 더보기
종교개혁 신학 전통의 신앙과 이성 오캄, 비엘, 리미니, 등을 통해 시작된 새로운 길은 이성으로 알 수 있는 것과 신앙으로 알 수 있는 것을 구분했다. 즉, 신앙은 계시를 통해서 자연은 이성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원래 플라톤의 이데아는 소크라테스에 의하면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 이데아를 망각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그리스 북부 테실리아의 귀족 메논과 논쟁 중에 니온 말로 메논이 이를 믿지 않자 그 자리에서지나가던 노예 소년을 불러 그가 기하학을 이미 알고 있음을 입증한다. 이를 흔히 상기설이라고 한다. ---------------- 소크라테스 : 저 노예 소년도 기하학을 알고 있다. 메논 : 노예 소년이 기하학을 알고 있다니 말도 안 됩니다. 소크라테스 : 내가 바닥에 그리는 것을 봐라. 사각형을 그릴 거고, 여기 한 변의 길이가 2.. 더보기
플라톤의 이데아론의 정치적 의미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플라톤의 작품이다. 이 책에서 소크라테스의 변론 중에 나오는 이야기가 하나 있는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아르기누사 해전에 관한 이야기다. 이 해전에서 승리를 했는데 폭풍우가 몰아쳤고 이 때문에 전사자의 유해를 수습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 전쟁에 참여한 장군 6명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재판은 변론에 기회도 주지 않고 이들을 사형에 처했다. 이때 유일하게 반대했던 인물이 소크라테스다. 아테네의 민주정은 10개의 부족이 매달 50명의 대의원을 내고 그렇게 모인 500명이 민회를 통해서 다스리는 민주정 구조를 하고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부당한 결정으로 해전에 실전 경험이 많있던 장군들이 사라짐으로 아테네는 스파르타에게 패하고 만다. 그리하여 아테네에 스파르타가 세운 괴뢰 정권이 스파르타.. 더보기
개혁신학 구원론의 체계 1. 로마 가톨릭 교회는 지금도 "의화" 교리를 믿습니다. 2. 사실 이 교리는 로마교의 종특이라기보다 이전 어거스틴 시대의 교리입니다. 3. 이것을 종교개혁 전통은 "칭의"와 "성화"로 구분지은 것입니다. 4. 그럼 왜 이런 시도를 했을까요? 이런 질문을 해야 칭의 교리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5. 의화교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은혜의 교리에서 점점 껍데기는 은혜인데 내용은 행위 구원 교리로 변질되어 갑니다. 6. 처음에 예수를 믿을 때, "원의"라는 것을 "주입"해줍니다. 여기에는 어떤 조건도 없고 은혜로 믿음에 의해서 주어집니다. 7. 여기서 원의는 좁은 의미의 하나님의 형상으로 그리스도의 형상을 의미합니다. 참 지식, 의로움, 거룩함으로 표현되고 에베소서 4:24과 골로새서 3:10에 .. 더보기
전적 부패 전적 부패(total depravity)는 근본적 부패(radical corruption)내지1) 온 데 퍼진 부패(pervasive depravity)라고 불린다2). 전적 부패는 우리 부패의 심도(degree)가 심각한 상태여서 선이라고는 할 수 없는 상태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이 표현은 심도에 대한 표현이 아니라 "범위"에 대한 표현이다. 물론, 선을 행할 수 없는 상태로서 "전적 부패"라는 말이 성립하려면, 이 때 정의되는 "선"은 "구원에 공로로 유효한 선"이라는 의미며 이런 의미로는 우리는 "무능력한 상태"가 맞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대로 이것은 부패의 심도에 대한 진술이 아니다. 이웃을 사랑할 수 없다거나 이웃의 선행에 찬탄과 감사를 할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자녀를 사랑할 수 없다거나.. 더보기
구원의 경우들 1. WCF는 9장에 자유의지를 두고 우리가 자의로 하나님께 갈 수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자유의지의 앞에 언약과 중보자 그리스도를 7-8장으로 두고 10장에 효력있는 부르심을 두었다. 2. 중보자가 앞에 온다는 점에서 이를 전택으로 읽을 수도 있다. 동시에 자유의지를 통해서 누구라도, 곧 택자든지 불택자든지 자의로 하나님께 나아오는 자가 없음을 설명했다. 3. 그리고 10장에서 효과적인 부르심을 두는데, 이 때 부르심은 "말씀과 함께(Cum Verbo)"이뤄진다. 이는 말씀과 성령의 있음과 없음으로 4개의 경우의 수를 만든다. 4. WCF.10.1.처럼 말씀과 성령에 의해서 부르심을 받는 통상적 경우가 있고 WCF.10.3.처럼 성령의 역사는 있으나 말씀이 없는 경우가 있고 WCF10.4.처럼 말씀.. 더보기
겉과 속이 다른 일본인의 정치 문화적 기원 일본의 쇼군 이에야스는 그 속내를 보면 조선의 사정과 정반대였다. 실질적인 제왕학은 주자학이 아니라 오히려 反주자학인 코가쿠(古學)과 코쿠가쿠(國學)이었다. 원래 일본의 주자학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전개되었는데 첫째, 정통 주자학을 추종하여 쇼오헤이코오(昌平?:도쿄제대 법학부의 전신)에서 쇼군의 정치고문을 양성하는 데 그 목적을 둔 게이시하(京師派)며, 둘째, 교토를 중심으로 한 카이난하(海南派)였다. 특히, 카이난하의 출현은 주자학의 내부 붕괴를 알리는 서곡이었다. 당시 카이난하를 대표한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 1618~1682)는 왜란 때 전해진 퇴계의 대의명분론을 차용해 주자학과 일본 전래의 신토(神道)를 접합시킨 소위 「수이카신토(垂加神道)」를 주창했다. 이는 훗날 메이지유신 때 尊王論(존.. 더보기
한복과 한푸 분서갱유와 문화대혁명으로 역사를 지운 나라 아니랄까봐 만주족 복식이기도 했지만 전통 복식인 치파오를 지우고 거기에 중국내 고려풍이었던 한푸를 앉히고 있다. 고려양(高麗樣) 또는 고려풍(-風)은 고려 후기, 원나라에서 유행한 고려의 여러 풍습과 문물을 일컫는 용어이다. 그 열등감은 측은하기까지 하다. 요즘 중국 청년들은 십불 세대라고 한다. 여기에 헌혈, 복권도 들어간다. 이런 것이 상식적이고 공정하게 이루어질 것에 대한 믿음이 없기 때문이다. 도둑질은 저네들이 매일 하면서 한국에 대한 열등감과 부러움이 이런 현상을 빚고 있다. 아래는 한푸가 고려양의 영향을 받은 것에 대한 문헌 증거들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 1. 궁중 의복 새로이 고려 양식 숭상하니 허리 지난 모난 깃에 짤막.. 더보기
더닝 크루거 효과 심리학에 더닝 크루거 효과라는 용어가 있다. 이는 자신의 능력을 잘못 평가하는 인지 편향을 설명하는 말로 더닝과 크루거에 의해 실험으로 입증되었다. . 이는 두 가지 주요 측면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 비교적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그들이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인식하지 못해서 발생하는데 우리 속담에 하룻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는 말이 딱 이 경우다. 둘째, 매우 능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우리 속담에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는 말과 일치한다. 그들이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비슷한 수준의 지식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잘못 가정한다. 1999년에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는 실험을 하나 설계한다. 우선 참가자.. 더보기